경제·금융

부동산.학원업 부진 사상 최악(종합)

소매업 15개월.금융업 12개월째 위축<br>자동차 판매 10개월 연속 감소<br>수출기업 관련 업종은 성장세 지속

경기침체로 최근 몇년간 호황을 구가하던 부동산과 학원업이 사상 최악으로 위축되는 등 내수가 좀처럼 회복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7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서비스업 활동 동향에 따르면 서비스 생산은 통신업과운수업, 사업서비스업의 호조로 작년 4월에 비해 0.4% 늘었으나 증가폭은 2월의 2.7%, 3월의 2.6%에 비해 뚝 떨어졌다. 대표적인 내수업종인 소매업은 홈쇼핑 등 무점포업과 가정용 기기.가구소매 등의 부진으로 2.0%가 줄어 15개월 연속 감소했다. 자동차 판매 및 차량연료 소매업은 자동차 판매 감소로 3.4%가 줄어들며 10개월연속 하향곡선을 그렸다. 부동산 및 임대업은 투기억제 정책으로 인해 부동산 중개 및 감정업이 부진하고전반적인 경기침체로 부동산 임대업이 줄어드는 등 10.2%가 감소해 지난 2000년 서비스 통계조사 실시 이후 최악의 상황으로 떨어졌다. 특히 산업용기계장비 임대업은 23.0%가 줄어 전달의 -25.5%에 이어 극심한 기업활동 부진을 반영했다. 교육서비스업은 학원 수업료 수입 위축으로 6.9%가 줄어 2개월째 감소했다. 유아교육과 직업훈련, 일반교습, 사무관련 교육 등을 맡는 학원업은 감소폭이전달의 3배 가까운 11.0%까지 확대되며 4개월 연속 줄었다. 금융업은 신용불량자 양산으로 신용카드와 할부금업 등 비통화금융기관의 영업부진으로 5.5% 줄어 12개월째 감소했다. 보험.연금업은 12.0%가 증가해 최근 3개월 연속 두자릿수 증가세를 유지했다. 소매업과 함께 핵심적인 내수지표인 음식점업은 일반음식점과 제과점, 주점 등의 매출 감소로 5.5%가 줄어 지난 2월 -1.2%, 3월 -4.3% 등에 이어 3개월째 감소폭이 확대되고 있다. 호텔업은 작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때문에 부진했던데 대한 기술적 반등으로 29.0% 증가하며 작년 7월이후 10개월째 상승세를 지속했다. 오락, 문화 및 운동관련 서비스업은 영화산업이 국산영화의 흥행에 힙입어 23.4%로 호황을 구가하고 있는 가운데 다른 경기 및 오락스포츠업(-14.8%), 공연산업(-6. 2%) 등의 부진으로 전체적으로는 5.4% 감소했다. 개인서비스업은 미용 및 목욕탕, 예식장.세탁업 등의 부진으로 5.5% 감소, 2개월째 하향곡선을 그렸다. 수출기업 관련 업종들의 생산은 수출 활황세를 반영해 크게 증가했다. 운수업은 여행알선.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과 항공운송업, 육상운송업의 호조로 6.7% 증가했고 사업서비스업은 사업지원서비스업과 정보처리, 컴퓨터운영 등에서 상승세를 보여 3.1% 늘었다. 통신업의 경우는 올들어 번호이동성제도가 도입돼 관련업체들이 판촉활동을 활발하게 벌이면서 가입자수가 늘어남에 따라 10.2% 증가, 최근 3개월간 두자릿수 성장을 보였다. (서울=연합뉴스) 김대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