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삼성중공업, 국내 최초로 원유시추설비 해상합체 성공

삼성중공업이 국내 최초로 원유시추설비를 해상에서 합체시키는 데 성공했다. 각국의 자국 건조주의가 확산되는 가운데 이 같은 해상합체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중공업은 16일 원유시추설비의 상부구조물(Top side)과 하부구조물(Hull)을 해상에서 한 치의 오차 없이 결합시켰다고 밝혔다. 이번 시추설비는 삼성중공업이 상부구조물을, 러시아 조선소가 하부구조물을 각각 제작해 러시아에서 최종 합체하는 조건으로 지난 2007년 러시아 가즈플롯으로부터 6억 달러에 수주한 프로젝트다. 그러나 러시아 조선소가 기술부족을 이유로 해상합체를 포기, 삼성중공업이 국내 해상에서 직접 수행하게 됐다. 이에 따른 추가 매출은 4,500만 달러다. 작업은 진해만에서 이뤄졌다. 우선 하부구조물 27m 깊이로 잠수시키고 그 위에 2만톤 규모의 상부구조물 배치한 뒤 하부구조물을 부양시켜 합체하는 순서로 12일 동안 작업을 진행한 결과 오차범위 1㎝ 내에서 정확히 결합시키는 데 성공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유럽 조선업체들도 해상합체 기술을 보인 적은 있지만 대부분 대륙붕에 고정된 기둥에 상부구조를 올려 놓는 수준이었다”면서 “흔들리는 파도 속에서 상부와 하부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합체한 것은 드문 일이다”고 설명했다. 삼성중공업은 이번 시추설비 해상합체에 성공함에 따라 자국건조주의를 고수하고 있는 국가들로부터 상부구조를 수주해 합체해 주는 방식으로 시장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노인식 삼성중공업 사장은 "국내 처음으로 시도된 해상합체 전 과정에 러시아 발주처 직원 50명이 참관했고, 당초 3주로 계획된 작업을 12일만에 한치의 오차도 없이 완료하자 감탄사를 연발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시추설비는 진해만에서 거제조선소로 돌아와 배관 및 케이블 연결작업, 시운전 등을 거친 뒤 사할린 유전지역에 올해 말부터 투입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