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레저] 겨울눈꽃산행 "흑백의 신비에 마음마저 빼앗기고...'

설화(雪花), 바로 눈꽃이 고운 자태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울긋불긋 요란 한번 떨지 않으면서 흑백의 조화만으로 신비함을 한껏 뽐내는 눈꽃. 겨울바람에도 몸을 가볍게 흔들뿐 고아한 자태를 자랑한다. 먼산에 피어있을 때는 웅장한 설경이더니, 가까이 볼 때는 나뭇가지에 피어난 한송이 야생화다. 보는이의 옛추억과 뒤엉키면 마음마저 앗아간다.보통 눈꽃 산행의 절정기는 1월말부터 2월초순 사이다. 한라산·설악산·태백산·덕유산 등 설경으로 유명한 명산 주변에서는 1월말부터 눈꽃축제도 열린다. 이번 주말에는 한라산·덕유산에서 제대로 설경을 즐길수 있다고 한다. 나머지 지역은 눈이 많이 녹았으나 산 중턱부터는 어느정도 눈이 쌓여있다. 특히 1월말 눈이 쌓일 때쯤 눈꽃축제에 맞춰 겨울산행을 떠난다면 다양한 재미를 맛볼 수 있다. ◇한라산= 제주 사람들은 『겨울 한라산을 보지 않고는 제주도를 논하지 말라』고 말한다. 푸른 하늘에 산봉우리가 하얗게 잠기면 그만한 비경이 없다. 한라산 눈꽃은 독특하다. 나뭇가지의 눈꽃도 아름답지만 안개 물방울이 얼어붙어 생긴 눈꽃은 안개꽃은 뿌려놓은 듯 화사하게 빛난다. 특히 올해는 본토와는 달리 한라산이 눈꽃 천지다. 지난해 12월 20~21일 80~90㎝에 달하는 폭설이 내려 84년이후 최고의 적설량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코스는 영실~윗새오름~어리목코스 10㎞ 구간이 가장 좋다. 이 코스로는 정상인 백록담으로 갈 수 없지만 계곡과 눈꽃터널, 설원으로 이어지는 등반로는 정상등반이 가능한 성판악 코스에 비할 바가 아니다. 말 그대로 환상의 눈꽃 트레킹 코스다. 문의 한라산국립공원사무소 (064)742-3084 고어텍스 아웃도어클럽(02-782-0458)이 15일 오후에 출발, 16일 저녁 돌아오는 한라산 산행상품을 판매중이다. 19만원. 동부관광(02-730-8311)은 22~23일, 25~27일, 29~30일 상품을 판매중. 1박2일은 어른 16만9,000원, 2박3일은 19만9,000원. ◇설악산= 설악(雪岳)이란 이름에 걸맞게 설경이 빼어나다. 설악산 코스는 겨울산의 정취를 맛볼 수 있을 뿐아니라 온천욕, 겨울바다를 한꺼번에 즐길 수 있어 여행객들이 선호한다. 현재 산 밑자락은 눈 구경을 할 수 없지만 대청봉·화채봉 등 28개 봉우리에는 눈꽃이 어느정도 피어있다. 산행을 제대로 하려면 1박2일 일정으로 대청봉을 등반하는 게 좋다. 오색~대청봉코스는 5㎞로 4시간거리. 하산은 대청봉~천불동~설악동~비선대로 잡는다. 7~8시간 소요. 설악산관리사무소 (0392)636-7700 ◇오대산= 산세가 부드러워 눈이 내리면 포근하고 아늑한 느낌을 준다. 명찰인 월정사와 상원사 적멸보궁, 방아다리약수 등이 유명하다. 적설량은 설악산과 비슷한 상황이다. 등산코스는 상원사~중대사~적멸보궁~비로봉이 좋은데 왕복 4시간쯤 잡아야한다. 오대산관리사무소 (0374)332-6417 ◇태백산= 산세가 험하지는 않지만 크고 늠름하다. 수백년된 주목과 고사목이 등산길 주변의 절경을 이루고, 적설량도 풍부해 등산객에게 인기가 높다. 산행은 보통 백단사~망경사~천제단~문수봉~당골이나 유일사~장군봉~천제단~문수봉~당골을 이용한다. 아직 본격적으로 설경을 즐기기는 힘들다. 얼마전 비가 와 눈이 많이 녹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발목이 묻힐 정도는 안되지만 중턱부터는 눈이 어느정도 쌓여있다. 태백산관리사무소 (0395)553-5647. 풍경사진클럽이 15~16일 태백산 일출·설경 사진을 찍으러 여행을 떠난다. 5만5,000원. (02)2265-6804 ◇덕유산= 남부지방에 위치하지만 서해의 습한 대기가 이 산을 넘으면서 많은 눈을 뿌린다. 무주리조트(0657-322-9000)가 자리잡고 있어 스키와 온천욕, 설경을 한꺼번에 즐길 수 있다. 향적봉으로 불리는 덕유산 주봉에 오르면 첩첩산중으로 이어진 크고작은 연봉이 눈가루를 흩날리는 모습이 한눈에 들어온다. 산행은 대체로 삼공리주차장~신대휴게소를 잇는 구천동계곡 주변에서 시작한다. 무주리조트가 운영하는 케이블카를 타고 설천봉으로 편하게 올라가 설경을 감상해도 된다. 덕유산관리사무소 (0657)322-3174 최형욱기자CHOIHUK@SED.CO.KR

관련기사



최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