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 올 임금교섭 진통 예고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의 올해 임금인상 요구에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동결 또는 삭감을 주장하고 있어 올해 임금교섭의 난항이 예상된다.경총은 25일 조선호텔에서 회장단회의를 열어 올해 임금인상 가이드라인을 동결 또는 삭감으로 정하고 고용안정에 최선을 다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앞서 노동계는 민주노총이 7.7%, 한국노총이 5.5%의 임금인상요구율을 내놔 사용자와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경총 조남홍(趙南弘)부회장은 『올해 경제가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하나 기업들의 체감 경기는 여전히 냉랭한 만큼 임금 인상과 고용 안정을 모두 들어줄 형편이 아니다』면서 『노동계가 임금 동결 또는 삭감을 수용한다면 고용 안정과 신규 인력 채용에 적극 나설 방침』이라고 밝혔다. 경총은 이를위해 지난해 정비된 수당의 회복·신설 억제 고정상여금의 성과배분적 상여 전환 총액 기준 임금 교섭 수당 및 복지후생비 성격의 임금 비중 축소 등 임금교섭 원칙을 정하고 구조조정 완료기업은 동결, 구조조정 진행기업은 삭감할 방침이다. 이에대해 민노총 윤우현(尹于鉉)정책국장은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이 97년 12.9%에서 지난해 9.4%로 줄어드는 등 인건비가 기업경영에 별다른 부담이 되지 않고 있다』면서 『경총의 임금가이드라인은 기업들이 노동자들만의 희생을 통해 구조조정을 하겠다는 것으로 결코 받아들일 수없다』며 파업등 투쟁을 통한 요구조건 관철의사를 분명히 했다. 한국노총 김종각(金鍾珏)선임연구위원은 『정부의 올 물가상승률 목표가 3%고 경제성장률이 2~4%라는 것을 고려하면 한국노총의 5.5% 임금인상요구율은 최소한의 요구』라면서 『지난해 임금 삭감 또는 반납 등으로 노동자들의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올해에도 임금을 동결·삭감하겠다는 경총의 결정은 경제회복에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노동부는 이에대해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심리와 구조조정 과정에서 근로자들만 희생을 강요당하고 있다는 피해의식 등이 확산되고 있어 올해 임금교섭은 순탄치 않을 것』이라며 『노사가 서로 일정정도 양보하는 협상의 기술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지적했다.【민병호·정재홍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