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인사이드 스토리] 삼성 백혈병 조정위원회 논란 커지는 '편향 행보'

"사회적 책임차원서 모든 인원 보상"

일부 조정위원 반올림측 주장 답습

공익법인 관철 위한 활동 해석도

삼성전자와 삼성직업병가족대책위원회(가대위) 및 반도체 노동자의 인권 지킴이(반올림)는 지난해 말 백혈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인으로 구성된 '조정위원회'를 출범하기로 합의했다. 피해자 보상 문제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평행선을 달리자 내놓은 고육지책이다.

이해 관계가 없는 제3자에게 문제 해결을 맡겨 보자는 것이다. 조정위원장을 맡은 김지형 전 대법관은 백도명 서울대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교수와 정강자 인하대 법학전문대학원 초빙교수 겸 참여연대 공동대표를 위원으로 지명했다.

이렇게 출범한 조정위는 8개월여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지난 7월 권고안을 내놓았다. 삼성전자는 보상위원회를 출범해 1,000억원에 이르는 사내기금을 조성키로 하는 등 해당 권고안을 대부분 수용했다. 보상 규모가 과대하다는 일부 논란도 있었지만, 유가족을 위해 신속히 보상 문제를 마무리 짓겠다는 취지였다. 피해자 가족들로 구성된 가대위도 "이른 시일 내 사태를 마무리 짓자"며 보상위의 손을 들었다.


조정위는 조력자 역할을 해달라는 요구도 덧붙였다. 하지만 최근 '법관' 역할을 맡아야 할 조정위의 모습이 이상하다. '편향된 행보'라는 말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고, 그만큼 논란이 확산되는 모습이다.

관련기사



조정위원 중 한 명인 백도명 교수가 대표적인 사례다. 17일 관련 학계 등에 따르면 백 교수는 지난달 말 한국산업보건학회가 주최한 학술대회에서 "근거나 기준이 모호해도 사회적 책임 차원에서 모든 사람에게 보상해야 한다"는 반올림 측 주장을 그대로 답습한 주장을 펼쳤다.

백 교수는 이어 지난 16일에는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와 은수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주최한 '삼성전자 백혈병 문제 해결을 위한 조정위원회 권고안' 토론회에도 발제자로 나섰다. 의사협은 또 다른 조정위원인 정강자 참여연대 공동대표의 남편인 고한석 씨가 이사장을 맡고 있는 단체다.

법조계의 한 관계자는 "조정위가 법적 구속력을 갖춘 단체는 아니지만 사적 분쟁에서 일종의 심판 역할을 맡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어느 한쪽을 편드는 듯한 행보를 보이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조정위가 권고안에 담았던 공익법인 설립을 관철하기 위해 '장외 활동'에 나선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반올림 활동가들이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 공익법인을 세우기 위해 일부 위원들이 사실상 측면 지원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