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인 피랍관련 자료없어"

정부, 9일 첫 인지…정보수집 허점 드러내

한국인의 이라크 피랍설에 대해 정부는 가능성이 희박하는 데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부가 첩보를 처음으로 파악한 시점이 너무 늦어서 실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늑장 대응 논란이 일 것으로 우려된다. 이규형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10일 “이라크 정부 등 다방면으로 알아본 결과 지금까지 한국인 피랍 관련 자료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한국인 인질이 여성인지에 대해 이 대변인은 “아랍어에서 ‘인질’이라는 단어가 여성형이기 때문에 그런 말이 나온 것 같다”며 “그러나 여성인지, 남성인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그러나 “이라크 현지 교민들의 안전에도 이상이 없으나 모든 가능성에 대비, 최선을 다해 대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라크 무장단체가 지난 6일 한국인 납치 주장을 웹사이트에 처음 공개하면서 경고시한을 72시간으로 잡은 상태에서 외교부는 9일 늦게야 이 같은 사실을 인지, 정보수집에 허점을 드러낸 것으로 지적받고 있다. 정부가 처음으로 이 정보를 파악한 시간은 9일 오후로 이 대변인은 “정보기관이 어제 오후에 처음으로 정보를 입수, 즉각 관련부서에 전파했고 외교부는 오후7시30분에 인지했다”며 “회의는 오후9시에 개최했다”고 말했다. ‘정부가 너무 늦게 사실을 파악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이 대변인은 “많은 웹사이트 중에서 통보하고 알려드리는 것도 아니어서 좀 그런 측면이 있다”며 말을 얼버무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