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창조적 연구자 맘껏 일하는 곳으로

노벨상 수상은 인재들 몫 과학기술 역량 강화 자신<br>산업계 요구 반영 규모 확대 연구책임자는 한국인으로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은) 새로운 사고 방식의 틀의 터전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노벨상 수상은 과학기술 인재들의 몫으로 남기겠습니다."

삼성그룹이 향후 10년간 1조5,000억원을 출연해 설립 예정인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의 초대 이사장인 최양희(사진ㆍ58세)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14일 삼성의 출연이 노벨상 수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최 신임 이사장은 한국이 그 동안 과학분야에서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한 이유로 세가지를 꼽았다. 첫째는 한국의 과학 기술 연륜이 짧다는 것이다. 둘째는 산업발전이라는 명제가 중요한 만큼 기초적인 것에 장기적인 투자를 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세번째는 파괴ㆍ창조적인 발상에서 출발해야 하지만 한국의 단합을 중요시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파괴하고 창조하는 것이 무리라는 점을 꼽았다.

최 이사장은 이에 따라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을 노벨상 수상을 위한 토대 마련을 위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젊더라고 파괴적이고 창조적인 발상을 가진 연구원들을 유연하게 받아들여 시스템으로 보완해나갈 것"이라며 "전체 금액이 작다고 할 수 있겠지만 상징적으로 (국내 연구진에)상징적인 의미를 갖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전 세계적으로 민간 출연의 연구재단의 성격을 띠면서 상시적인 조직을 갖추고 이만한 재원을 마련한 것은 전례가 없다"며 "이 같은 출발이 과학기술 역량 강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관련기사



최 이사장은 앞으로 재단을 더욱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최 이사장은 "앞으로 모든 계획이 한꺼번에 짜여있는 것이 아니라 유연하고 진취적이고 개방적인 방향으로 조정해 나갈 것"이라며 "국내 과학계와 산업계의 요구를 받아 들여 확대 조정해 나갈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재단 운영 방안과 관련, "한국의 과학기술 발전을 우선으로 해서 출발할 것이기 때문에 연구자는 외국인을 받아들여도 연구책임자는 한국인으로 할 계획"이라며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자신감이 붙고 국가적 영향이 관찰된다면 해외에 문을 여는 것도 시도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연구 과제 선정에 대한 객관성 확보에 대한 의지도 내비쳤다. 그는 "원활한 심사가 이뤄지도록 외국인을 포함해 500명 정도의 후보자 리스트를 가지고 있지만 좀 더 보완한 것"이라며 "심사위원은 100명 정도로 생각하지만 과제가 많아지면 늘어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삼성그룹은 13일 미래 국가 과학 기술 육성을 위해 10년간 1조5,000억원을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을 통해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상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