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내년 시행 「국민건강증진사업」/교육·연구 위주 실효 미미

◎백32억 배정… 중복편성 많아새해부터 처음 실시되는 국민건강증진사업이 대부분 중복된 교육·연구 위주여서 실효가 작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19일 보건복지부는 국민건강증진법에 따라 내년에 처음 실시하는 건강증진사업에 현재까지 직립된 건강증진기금 1백90억원중 1백32억4천5백만원의 예산을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복지부는 그러나 이 기금중 7억1천6백만원을 보건교육정보 시스템 구축과 보건교육자료개발 지원비·국민건강생활지침서 제작비 등 구태의연한 사업 예산으로 배정했다. 또 과음으로 인한 건강유해요인 연구 등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조사·연구과제 60건을 선정, 보건사회연구원 등에 30억원이나 연구용역을 의뢰하기로 했다. 또 복지부는 전국 3백72개 지역·직장 의료보험조합과 의료보험관리공단 피보험자에 대한 보건예방교육 예산으로 이들 보험자단체에 23억원을 책정하는 외에 국민건강교육 홍보지원비라는 명목으로 4억5천6백만원, 이동 보건교육사업비로 다시 2억원을 별도 편성하는 등 사실상 비슷한 항목의 보건교육에 중복책정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신정섭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