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협력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동반성장지수 평가대상 대기업 53개사와 1차 협력사 213개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차 협력사의 63.9%는 동반성장지수 효과가 긍정적이었다고 답했다. 이들 기업의 28%는 동반성장지수 시행 이후 하도급 공정거래가 개선됐고, 26.1%는 대기업의 동반성장 시스템이 구축되고 지원이 확대되는 효과를 거뒀다고 답했다.
하지만 ‘동반성장 효과를 체감하기 곤란하다’(19%)거나 ‘중소기업의 자생력이 약화됐다’(7.4%)는 답변과 함께 ‘기업부담이 가중됐다’(5.5%)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 오히려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협력 시너지가 저하됐다’는 답변도 4.2%로 조사됐다.
평가 대상 대기업들도 '동반성장 시스템 구축과 지원 확대'(38.7%)와 '하도급 공정거래 개선'(15.1%) 효과에는 공감했지만 '과도한 자금지원 및 등급서열화로 인한 부담 가중'(26.4%), '중소기업과의 협력 시너지 저하'(13.2%) 등 부작용도 토로했다.
평가대상 대기업과 1차 협력사들은 동반성장지수의 보완과제로 '기업현실과 업종별 특성이 충분히 반영된 평가기준 마련'(46.2%ㆍ32.8%), '우수기업에 실질적 인센티브 확충'(27.4%ㆍ28.4%)을 가장 많이 꼽았다. 또 동반성장지수의 대안모델로는 ‘기업의 경영자원과 역량에 맞는 모델’(37.7%ㆍ22.9%)을 제안했으며, ‘기업의 동반성장 수준별로 도입가능 모델’(30.2%ㆍ15.4%)과 ‘중소기업 자생력 강화에 대한 별도 측정장치 신설’(20.8%ㆍ18.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현행 지수 평가방식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는 대기업은 한 곳도 없었고, 1차 협력사 역시 2.4%에 그쳤다.
전경련 측은 동반성장지수 시행 효과에 대해 평가대상 대기업과 1차 협력사 간에 약간의 온도차이가 있었지만 기업현실과 역량에 맞도록 현행 동반성장지수의 대안모델을 개발해야 한다는 데는 공감을 이뤘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전경련은 올 하반기 중에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역량이나 특성이 최대한 발휘되고 상생할 수 있는 동반성장지수의 대안모델을 개발해 동반성장위원회 등에 제안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