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여권 '박근혜 구원투수론' 다시 부상

與중진·친이계 일부 대북특사론 제기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대북문제 역할론이 다시 떠오르고 있다. 북한의 잇따른 대남 강경책으로 남북관계 교착상태가 계속되자 이를 풀 수 있는 묘안으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 친분이 있는 박 전 대표의 대북 특사론이 제기됐다. 특히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경쟁자였던 힐러리 클린턴 뉴욕주 상원의원을 미국 차기 행정부 국무장관에 기용하면서 지난해 한나라당 대선 경선 때 라이벌이었던 이명박 대통령과 박 전 대표의 '화합 카드'로 주목 받고 있다. 여권 일각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 1주년을 맞는 내년 2월25일 이전 개각과 함께 예상되는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 변경에 앞서 박 전 대표가 방북, 북한의 동향을 파악하고 대북관계의 채널을 복원하는 모종의 역할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소속인 남경필 한나라당 의원은 26일 한 라디오 방송에서"우리 대통령의 뜻을 정확하게 전달하고 남북 양쪽에서 신뢰 받는 사람이 대북 특사로 가야 한다"면서 김대중 전 대통령과 함께 박 전 대표를 대북 특사로 추천했다. 홍준표 원내대표도 전날 "박 전 대표가 정권이 어려울 때는 정부를 도와주는 게 맞다"면서 박 전 대표의 역할론에 불을 지폈다. 당내 반응은 비교적 긍정적이다. 박 전 대표가 방북해 김 위원장을 만난 경험이 있는데다 박 전 대표를 대북 특사로 파견할 경우 오바마 당선인이 최근 보여준 '통합의 정치' '화합의 리더십'에 버금가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