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소중한 주권 빠짐없이 행사하자

오늘은 17대 대통령선거일이다. 앞으로 5년간 나라를 이끌 대통령을 뽑는 날이지만 유권자들의 입에서는 “무슨 선거가 이래” 하고 푸념만 나온다. 사상 최다인 12명이 후보등록을 한 것이 무색할 만큼 정책대결은 없고 ‘BBK 사건’으로 시작해 BBK 사건으로 끝났다. 선거가 실종돼 유권자는 뒷전으로 밀려났다. 누가 당선돼도 많은 후유증이 예상되지만 이럴 때일수록 귀중한 한 표를 행사해 단호히 심판해야 한다. 사기범과 공갈범이 선거 한복판에 선 것도 이번 대선이 처음이지만 임기 말인 대통령의 ‘재수사 검토 지시’도 헌정사상 초유의 일이다. 선두를 달리는 야당후보의 특별검사법 수용이나 국회의 특별검사법 통과도 마찬가지다. 멱살잡이로 ‘문자 그대로 난장판’이었던 국회의 여야대결 상황까지 곁들이면 이번 선거는 여러 가지 점에서 좋지 않은 기록투성이다. 선거라기보다는 일련의 추잡한 싸움판을 본 것 같다. 이처럼 전례가 없는 진흙탕 선거전이다 보니 이번 선거는 누가 당선되든 후유증이 더 관심사고 걱정이다. 벌써부터 내년 총선까지 정치가 큰 혼란에 빠질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선동과 정략만 난무하고 탈출구는 보이지 않으니 당연하다. 현재 세계 경제는 스태그플레이션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우리도 예외는 아니다. 이 같은 위기일수록 유권자는 투표에 참여해 심판하는 유권자 의식으로 무장해야만 한다. 어디까지나 판단은 국민의 몫이다. 선거운동에서는 정책대결이 사라졌지만 국민이라도 정책대결을 하는 성숙함을 보여야 한다. 국가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선거이므로 각 후보의 정책을 꼼꼼히 살피고 어느 후보가 만국병인 지역대결과 학연ㆍ혈연을 조장했는지를 철저히 따져봐야 한다. 대선 후의 후유증을 최소화하고 3류 정치를 바로잡는 것도 유권자의 적극적인 투표참여에 달렸다는 의식이 절실히 요구된다. 선거운동이 네거티브 중심의 진흙탕 싸움이 되다 보니 투표율이 낮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다. 국민에게 대통령선거는 소중한 주권을 행사하는 가장 큰 ‘축제’라고 할 수 있다. 축제가 축제답게 되려면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어야 한다. 한 사람도 빠짐없이 투표장으로 나가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