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늑대복제 논문 오류, 허술한 자료관리 탓"

서울대 연구진실성위원회

서울대 연구진실성위원회는 이병천 교수(수의산과학)의 ‘늑대복제’ 논문에서 발견된 오류가 허술한 자료관리와 논문 작성능력 부족 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조사됐다고 27일 밝혔다. 위원회에 따르면 이 교수 논문의 ‘표2’에 염기서열 번호가 잘못 기재돼 있고 2마리 대리모견의 일부 마커(marker)에서 DNA 염기서열 중 부수체(Microsatellite)에 관한 결과가 뒤바뀌어 있었다. 복제늑대에 체세포를 제공한 늑대의 미토콘드리아 염기서열에서 항목 1개가 누락되고 대신에 빠져야 할 항목 5개가 들어간 점도 추가로 발견됐다. 이들 오류 가운데 염기서열 번호가 잘못 기재된 것은 최초에 염기서열 분석을 맡았던 외부 업체가 번호를 잘못 기록했으며 박찬규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의 재분석 과정에서도 이 점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조사됐다고 위원회는 전했다. 논문 예비조사를 벌인 이정빈 서울대 교수(법의학교실)는 “염기서열 분석을 다시 한 뒤 번호를 조정해보니 오류로 지적됐던 부분이 일치했다”며 “나머지 오류들도 고의적이라기보다는 부주의에 따른 실수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위원회는 또 ‘복제 성공률 부풀리기’ 의혹에 대해 ‘스널프ㆍ스널피’보다 높은 복제 효율을 보인 수컷 늑대 3마리가 복제됐다는 사실을 공개하고 이 점으로 미뤄 이 교수가 고의로 성공률을 조작할 필요는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