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스코틀랜드 독립투표 부결] 경제 불확실성 벽 못넘은 '브레이브 하트'

독립후 경제전망 먹구름… 유권자 결국 안정 선택

세금 혜택·복지 확대 등 당근책도 부동층 움직여


스코틀랜드인들의 뿌리 깊은 독립 의지도, 정치·경제적으로 차별 받고 있다는 영국 정부에 대한 반감도 경제적 불확실성의 벽을 넘지 못했다. 기업들의 이전 위협과 영국 정부의 파운드화 사용 불허, 북해유전의 생산성에 대한 의구심 등이 겹치자 스코틀랜드 유권자들도 결국 독립보다 안정을 선택한 것이다.

주민투표가 가까워오면서 독립 반대 진영을 중심으로 분리독립이 결정되면 스코틀랜드 경제가 상당한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경고가 제기돼왔다. 민간 싱크탱크인 국가경제사회연구소는 스코틀랜드가 독립하면 첫해부터 국내총생산(GDP)의 6% 수준인 재정적자와 맞먹는 경상수지 적자도 함께 겪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분리독립이 성사되면 스코틀랜드가 영국 정부에 230억파운드(약 39조4,927억원)에 이르는 부채를 갚아야 한다는 점도 독립 후 경제전망에 먹구름을 뿌렸다.


마크 카니 영국중앙은행(BOE) 총재가 9일 의회의 반대를 이유로 "영국에서 이탈하면 파운드화를 쓸 생각을 말라"며 독립 스코틀랜드의 파운드화 사용을 불허하기로 한 게 결정적이었다. 영국과의 파운드화 동맹을 유지함으로써 통화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경제적 불확실성을 낮추려던 독립 찬성 진영의 계획이 어그러진 것이다. 대안으로 거론될 수 있는 유럽연합(EU) 및 유로존(유로화 사용 18개국) 가입도 유럽 내 민족주의 자극을 우려하는 타 회원국들의 반대로 여의치 않은 실정이었다.

관련기사



영국 정부가 지분을 보유한 스코틀랜드왕립은행(RBS)ㆍ로이드 등 스코틀랜드에 본사를 둔 주요 금융회사들의 이탈 위협도 표심을 돌렸다. 이들 회사는 11일 스코틀랜드의 독립 결정시 본사를 런던으로 옮기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 영국 정부는 RBS의 지분 80%, 로이드의 지분 25%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스코틀랜드가 독립하면 재정의 버팀목 구실이 기대되던 북해유전의 생산성에 제기된 의구심도 독립 반대에 한몫했다. 스코틀랜드가 독립하면 북해유전 세금 수입의 90%를 가져가게 돼 있었다. 하지만 뉴욕타임스(NYT)는 "지난해 50억파운드로 추산되는 북해유전 세수는 스코틀랜드 GDP의 3%에 불과하며 원유 생산량도 2050년에는 일일 생산량이 20만배럴까지 줄어 거의 고갈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지적했다.

독립 찬성 열기가 고조되면서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 등 영국 정부가 대대적으로 세금혜택과 복지확대 등의 '당근'을 내민 점도 막판 50만여명으로 추정되는 부동층을 움직인 것으로 보인다. 캐머런 총리는 스코틀랜드가 영국에 남으면 조세 및 재정지출 등에서 스코틀랜드에 자율권을 이양하겠다고 밝힌 상태로 보수당ㆍ노동당ㆍ자유민주당 등은 지난 15일 스코틀랜드의 자치권 확대를 명시한 공동 합의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