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 실질 임금등 줄어 민간소비 위축

디플레연장 우려등 제기

일본 기업들이 비용을 줄이기 위해 임금삭감, 비정규직확대에 나서면서 경제의 성장엔진인 민간소비가 위축되고 있다. 이에 따라 10여년간의 장기불황에서 벗어나고 있는 일본 경제가 주춤거릴 수도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일본의 소비증가율은 올 1분기 4.2%에서 2분기에는 2.6%로 둔화됐다. 이는 기업들이 정규직 일자리를 대거 파트타임 일자리로 대체하면서 노동자들의 실질임금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모건스탠리의 스티븐 로치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일본 소비자들이 활력을 잃고 있다”면서 “이는 소득증가율 둔화, 높은 실업률, 불안정한 고용상태 등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값싼 노동력은 기업들의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되지만 일본 경제의 60%를 차지하는 소비지출을 억제한다는 점에서 ‘양날의 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일본 경제를 억눌러 온 디플레이션이 연장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또 고유가로 해외수요가 줄면서 수출까지 감소세를 보여 일본 경제의 성장세가 크게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로치는 소비부진과 수출둔화로 일본 경제성장률이 올해 4.5%에서 내년에는 1.4%로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