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밀리면 끝장"..반도체업계 '300㎜ 전쟁'

업계판도 재편, 대규모 공급과잉 우려도

세계 반도체 시장에 `300㎜ 전쟁'이 불붙었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세계 주요 반도체 업체들은 앞다퉈 300㎜ 웨이퍼(반도체원판) 생산라인(팹.FAB) 설비투자에 나서고 있다. 300㎜(12인치) 웨이퍼 경쟁은 90년대 6인치에서 8인치(200㎜)로의 세대교체보다훨씬 더 큰 폭발력을 지닌 것으로, 앞으로 10여년 이상의 반도체 업계 판도를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상당수 업체가 올해안에 300㎜ 라인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어 내년에는 엄청난 공급과잉과 해당 업체들의 수익성 악화가 우려된다. ◆너나없이 300㎜ 투자 = 웬만한 업체는 모두 300㎜ 라인 투자에 뛰어들었다. 한국, 일본, 대만, 미국, 유럽뿐 아니라 중국 업체까지 300㎜ 전쟁에 가세했다. 2001년 9월 세계 최초로 300㎜ 라인(화성 11라인) 가동을 시작한 삼성전자는 11라인에서 월 1만장, 12라인에서 월 4만장를 생산하고 있으며, 지난해 가을 13라인도증설해 생산량을 3만장으로 늘렸다. 올 여름에는 복층 구조의 기흥 14라인에 최초의 300㎜ 플래시메모리 전용 라인과 시스템LSI 라인을 가동하기 시작한다. 일단 월 7천장 규모로 양산에 들어가 점차생산량을 높여갈 계획이다. 하이닉스반도체는 이천 M-10 라인, ST마이크로와 합작한 중국공장, 대만의 파운드리(수탁생산업체)인 프로모스 등 3개국에 걸쳐 300㎜ 라인을 확보하게 됐다. 하이닉스 최초의 300㎜ 라인인 M-10은 `T-1 프로젝트'를 통해 200㎜ 라인을 개조한 것으로 장비반입 석달 만에 90%대의 골든 수율(양품률)을 기록했으며, 올 상반기 안에 월 2만-3만장 규모로 본격 양산을 시작한다. 프로모스의 300㎜ 라인은 올 연말부터 제품이 생산되고 중국공장은 내년부터 본격 가동된다. AMD는 독일 드레스덴에 내년 가동을 목표로 300㎜ 공장을 짓고 있으며, 인피니온은 드레스덴 라인을 올해 중반 가동하고 하반기에는 미국 리치먼드 공장, 대만과합작한 D램 라인 가동을 준비하고 있다. ST마이크로는 이탈리아 카타니아에 올 3분기 가동 예정으로 회로선폭 90나노, 60나노 공정의 라인을 추진 중이며, 대만의 파워칩도 3분기에 300㎜ 라인을 가동한다. 일본 엘피다메모리가 1천억엔을 들여 단일라인으로는 세계 최대 모로 짓고 있는히로시마 공장은 오는 12월 1만5천장 규모로 양산을 시작해 생산능력을 10만장까지늘릴 계획이다. 마이크론 버지니아 공장도 300㎜ 생산능력을 작년 말 6천장에서 올해 2만장으로늘렸고 인피니온 화이트오크 공장도 5만장을 생산할 것으로 알려졌다. 인텔은 작년 6월 아일랜드에 90나노 공정 라인의 가동을 시작한데 이어 오리건과 애리조나에서 65나노 공정을 준비중이며,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도 3개 라인을가동에 들어갔거나 곧 가동할 예정이다. SMIC도 작년 9월 중국 최초의 300㎜ 팹 가동을 시작했고, 대만의 난야, IBM, 일본 르네사스 등도 300㎜ 라인을 추진중이다. ◆300㎜의 파괴력 = 웨이퍼 하나를 가공하면 반도체 수백개가 나오는데 지름 300㎜ 웨이퍼는 200㎜ 웨이퍼에 비해 생산량이 2.25배 높다. 따라서 300㎜ 라인 하나를 지으면 200㎜ 라인 2개 이상이 새로 생기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300㎜ 라인 시설투자는 공급과 가격 면에서 엄청난 폭발력을 갖고 있다. 많은 업체가 올해 라인 가동을 시작하고 내년에 양산을 본격화하면 최악의 공급과잉 사태가 빚어지면서 IT 버블 붕괴로 반도체 불황이 찾아왔던 2001-2002년이나 90년대 후반보다 상황이 더 나빠질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300㎜ 경쟁에서 뒤처지면 생사의 기로에 서는 업체가 생겨날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요즘 반도체 업계는 200㎜에서 300㎜로 넘어왔던 90년대 중반을 꼭 닮았다. 당시에는 한국 업체들이 무서운 기세로 200㎜ 투자를 진행해 일본 업체들을 따라잡았다.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명함도 내밀지 못했던 한국은 80년대 미국과의 반도체 전쟁을 통해 최강국이 된 일본을 추월해 지금까지 10여년간 메모리를 중심으로 세계반도체 시장의 강자로 자리잡게 됐다. 300㎜ 전쟁도 앞으로 10년 이상에 걸친 반도체 업계의 판세를 결정짓는 계기가될 것으로 보이며, 이 과정에서 업계 지도가 어떻게 바뀔지 주목된다. 아직까지는 90년대 중반의 한국 기업처럼 위협적인 후발주자는 별로 눈에 띄지않는다는 게 대체적인 견해지만 엄청난 잠재력을 지닌 중국을 중심으로 만만찮은 경쟁상대가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대우증권 정창원 IT하드웨어팀장은 "300㎜ 경쟁은 반도체 업계와 시장에 굉장한변화를 몰고 오는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2006년에 대량의 공급과잉 사태가 올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300㎜ 전쟁을 거치면서 존폐 기로에 몰리는 업체가 생겨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공병설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