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1주일이상 지속땐 공사차질 불가피 경기경착륙 가속화 우려

건축 부적합용까지 사용 부실시공 우려…업계 "정부 대책없이 수수방관"

1주일이상 지속땐 공사차질 불가피경기경착륙 가속화 우려 공사지연 손실 고스란히 업계 부담…건축부적합 모래까지 사용 부실 후유증 주택경기 침체, 원자재 값 급등에 이어 또다시 등장한 모래대란은 건설경기의 경착륙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것으로 보인다. 모래대란이 1주일 이상 지속될 경우 중소 건설사들은 물론이고 다소의 비축물량을 쌓아뒀던 대형 건설사들까지 정상적인 공사진행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공사중단은 건설업체의 경영난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올들어 주택 미분양 물량이 쌓이고 있고 관급공사 수주도 점점 더 어려워진 상황에서 모래부족으로 기존 건설현장에서마저 사업비용이 늘어날 경우 건설업계로서는 손실을 우려해 신규사업 추진에 소극적인 입장을 취할 수밖에 없다"며 "이는 결국 건설경기 위축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건설업계는 이미 건설ㆍ부동산 경기가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고 판단, 비상ㆍ긴축경영에 돌입한 상태다. ◇이중ㆍ삼중고에 건설업계 답답=모래부족에 따른 공사중단 및 지연이 발생하면 그에 따른 손실은 고스란히 건설업체들이 떠안을 수밖에 없는 상황. 아파트의 경우 공사중단으로 완공시기가 미뤄지면 입주지체에 대한 보상금을 물어야 하고 공공발주 공사의 경우도 공기지연에 따른 페널티를 물게 된다. 이 같은 상황은 가뜩이나 중국발 원자재난과 주택 미분양 물량 적체 및 공공사업 수주난 가중 등으로 이중ㆍ삼중고를 겪고 있는 건설업계를 더욱 움츠러들게 할 것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올들어 전국의 주택 미분양 물량은 크게 증가해 지난해 11월 현재 2만여가구였던 것이 이달 초 현재 4만여가구까지 증가했다. 한 중소 건설사의 관계자는 "신규분양시장이 얼어붙어 사업을 할지 말지 고민하고 있는 판국에 이미 분양해 공사를 시작한 주택사업마저도 손실을 빚게 된다면 건설업체로서는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수도권은 물론 전국적인 모래대란 가능성=레미콘업체들도 초비상 상태다. 옹진군의 해사채취 중단 이후 모래를 구하기 위해 전국 각지를 돌아다니고 있다. 그러나 모래도 귀할 뿐더러 최상급(A급)의 모래는 눈을 씻고도 찾아볼 수 없는 상황이다. 규모가 작은 레미콘회사들은 조만간 문을 닫을 상황에 처해 있다는 게 한국레미콘공업협회의 설명이다. U레미콘업체의 한 관계자는 "하루종일 뛰어다녀도 모래는 찾아볼 수 없다. 이런 상태가 조금만 지속되면 공장가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견 건설업체인 D사의 현장소장도 "다음주 당장 레미콘을 타설해야 하는데 물량이 없어 걱정"이라며 "본사에 이야기해도 해결책이 없으니 답답하기만 하다"고 말했다. 대형 건설업체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 현대건설 관계자는 "공사가 중단된 현장은 아직 없지만 서해안 바닷모래를 쓰는 수도권 현장에서는 모래가 없어 고민하고 있다"며 "대책을 마련하지 않을 경우 수도권은 물론 전국적인 모래대란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불량모래 사용에 따른 후유증도 불거져=서해안에서 채취되는 바닷모래는 수도권 건설업체에 '젖줄'이나 다름없다. 물량도 물량이지만 건축용 자재의 품질을 따져볼 때 바닷모래가 강모래 다음으로 품질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게다가 강모래는 사실상 공급이 중단된 상태. 따라서 바닷모래를 다른 것으로 대체할 경우 품질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게 건설업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실제 아파트 등 대형 건축현장에서는 최근 질이 좋지 않은 모래와 이를 원료로 한 레미콘 공급이 이뤄지고 있다. 모래가 떡처럼 붙어 떨어지지 않는 '떡모래'가 등장하기도 한다. 특히 일부 현장에서는 모래 품질이 나쁘다며 본사에 거래처를 바꿔달라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또 일부 건설업체는 모래대란으로 '부순 모래(돌 조각을 잘게 쪼갠 것)'를 사용하고 있지만 건축용으로는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용천 대한건설협회 부장은 "부순모래 등 해사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모래를 교량, 고층 건물 등에 사용했을 때 적잖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공급이 절대 부족하다 보니 일부 사업장에서는 이 같은 사실을 알고도 어쩔 수 없이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업계, 중국산 수입 등 근본대책 요구=건교부는 옹진군 바닷모래 채취가 가능하도록 지역주민과 지속적으로 대화하고 북한산 모래 반입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실제 통일부와 북한측의 협상으로 개성 사천강 지역 모래가 이르면 다음달 중순부터 국내로 반입될 예정이다. 그러나 북한산 모래는 80만톤으로 수도권 소요량의 8% 정도에 그친다. 건교부는 또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 모래를 채취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그러나 EEZ 모래 역?문제가 많다. 품질이 좋지 않아 건축용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건물구조 등에 결함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 최 부장은 “정부에 모래부족에 따른 대책을 요구한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며 “그러나 대책은 마련되지 않고 철근ㆍ레미콘 등의 가격만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말했다. 그는 “레미콘파동에 이은 이번 모래채취 중단을 고려해볼 때 특단의 대책, 가령 중국산 모래 수입 등도 신중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모래채취에 따른 환경단체의 반발을 줄이고 환경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제에 보존가치가 높은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처럼 임시ㆍ뒷북행정으로는 모래대란을 막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정배기자 ljbs@sed.co.kr 이종배기자 ljb@sed.co.kr 입력시간 : 2004-06-20 17:17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