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SK 사회적기업 ‘행복나래’ 순이익 전액 사회환원키로

SK그룹의 소모성자재 구매대행 사업(MRO)을 하는 국내 최대 사회적기업 ‘행복나래’는 올해부터 매년 순이익 전액을 사회에 환원하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미국 합작사와의 지분정리 등을 거쳐 지난 7월 정부로부터 사회적기업으로 공식 인증된 행복나래는 규정에 따라 순이익의 3분의 2만 환원하면 되지만 이번에 순이익 전체를 사회에 되돌리기로 했다.


행복나래가 올 상반기 900여억원의 매출에 15억원 가량의 순이익을 거둔 것을 고려하면 올해 사회에 환원할 순이익 규모는 3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사회적기업 인증 전에는 순이익의 사회환원 의무가 없지만 행복나래는 2011년 순이익(8억6,000여만원)과 2012년 순이익(10억3,700만원)도 소급해 사회에 내놓기로 했다.


결국 행복나래는 2011년부터 올해까지 3년간 50억원 가량의 순이익을 기부하는 셈이 된다. 사회환원은 주로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펀드에 기부하거나 불우이웃 성금을 전달하는 형태로 이뤄지게 된다.

관련기사



행복나래는 또 취약계층 고용 의무가 없음에도 전체 임직원 136명 가운데 10%인 14명을 탈북자, 한부모가정, 차상위계층 등 취약계층으로 채용하고 있다.

SK 관계자는 “이는 행복나래가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하겠다고 선언했을 당시 초심을 살려 사회적기업 생태계 조성과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겠다는 다짐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행복나래는 대기업의 MRO 사업에 대한 논란이 뜨겁던 2011년 8월 최태원 SK 회장의 뜻에 따라 MRO 사업을 사회에 기여하는 방안의 하나로 사회적기업으로 전환됐다.

행복나래는 우수한 사회적기업들을 발굴·육성해 양질의 MRO 상품을 납품받는 사회적기업간 밸류체인을 구축하는 한편 ‘사회적기업 및 약자기업의 우선구매 제도’를 실시해 지금까지 100여개 사회적기업과 영세한 협력업체의 판로개척과 성장을 지원하기도 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