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6자회담 이틀째…이행방안 구상 밝혀

北 '美 최고당국자 험담'에 불만 표시

제5차 6자회담 개막 이틀째인 10일 남.북한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은 `9.19 공동성명'에 대한 초보적인 구상을내놓고 의견을 교환했다. 6개국은 이날 오전 9시30분(현지시간) 베이징(北京)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두번째 전체회의를 열어 공동성명 이행방안에 대한 각자의 구상을 밝혔다. 회의에서 우리측은 이행방안은 공동성명의 범위를 벗어나서는 안되고, 따라서성명의 1∼3항인 북핵포기, 관련국간 관계정상화, 대북 에너지.경제협력 지원 등 3가지 분야를 바탕으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측은 특히 공동성명의 말을 행동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신뢰구축을 위해 초기단계에 취할 조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북한의 초기단계 조치로는 핵 재처리 중단이나 영변 원자로 가동중단 조치가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여기에 등가성을 가지는 상응조치를 연결하는 작업이 쉽지 않아 이번 1단계 회담에서 실현될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우리측 수석대표인 송민순(宋旻淳) 외교통상부 차관보는 이날 숙소인 캠핀스키호텔에서 기자들에게 영변 원자로와 관련, "지금 핵시설이 계속되고 있는 것은 적절한 방법으로 중단되고 폐기로 가는 그런 과정을 어떻게 가속화시켜야 되느냐에 대해얘기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도 "북한은 9.19 공동성명이후 계속 영변 원자로를 가동하고 있는데, 이 경우 재처리를 통해 플루토늄 양이증가할 수 있다"며 "우리로서는 우려스러운 일로 지금은 북한이 영변 원자로의 가동과 핵 재처리를 중단해야 될 때"라고 강조했다. 일본측은 이날 전체회의에서 공동성명의 1항과 3항, 그리고 2항과 4항을 연계시켜 북핵폐기 및 검증, 대북 경제.에너지 지원 등의 두가지 워킹그룹을 구성하고 일북관계정상화 및 지역안보 협력으로 대화 트랙의 구성을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핵심 당사국인 북한과 미국도 이행방안과 관련해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북한측은 전날 전체회의에서 공동성명의 내용을 풀어 "핵물질을 만들지 않겠다"는 얘기를 포함한 핵동결과 관련해 자국의 의지를 자세하게 피력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북한은 또 핵포기 조건이 성숙되는데 따라 단계적 조치를 취할 용의가 있다는입장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러시아와 일본 언론은 북한측이 핵 활동 동결, 기존 핵무기의 폐기,검증에 기초한 핵무기 생산 포기, NPT 복귀와 국제원자력기구(IAEA) 핵사찰 재개 등4단계 핵폐기 방안을 내놓고 남한 내의 핵무기 존재여부 검증, 핵우산 제공 중단,한반도에서 핵무기 통과금지와 핵 활동 중단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날 북미 양국이 이행방안 구상을 밝히면서 경수로와 농축 우라늄 핵프로그램, 북한 인권문제 등 기존 쟁점을 거론한 것으로 알려져 회담 셋 째날인 11일이와 관련한 공방이 예상된다. 아울러 북한측은 전날 전체회의에서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을 겨냥한 듯한 폭군 발언에 대해 "미 최고 당국자의 험담"이라는 표현을 쓰면서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