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지자체 "전통시장 살리자" 대거 투자

경남도 250억·경기 170억 등 시설 현대화·특화시장 발굴 추진<br>상품권 발행규모도 대폭 늘려


전국 지자체들이 경기 침체 직격탄을 맞고 있는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해 팔을 걷어 부치고 있다.

경남도는 대형마트, 기업형슈퍼마켓(SSM) 진출확대 등으로 어려운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높이고 고객 및 매출증대를 통한 상권 활성화를 위해 250억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지원 대상은 창원시 등 15개 시ㆍ군 35개 재래시장이다. 경남도는 또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지원사업으로 1개 시ㆍ군 1개 특화시장을 발굴해 2개 시장에 9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인천시는 올해 재래시장 활성화 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관내 신포ㆍ송현시장을 문화관광형 전통시장인 특성화 시장으로 운영하고, 부평역세권시장, 강화풍물시장 등 중심상권 9개권역은 권역별 특성화시장으로 중소기업청에 신청, 매년 2개 상권을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다.

광주광역시도 22개의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22개 시장의 시설현대화 사업에 73억원을 투입하며, 전통시장 특례보증 자금지원 사업으로 올해도 30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울산시는 새해부터 총 96억6,600만원을 들여 전통시장 시설현대화 사업을 대대적으로 추진한다. 올해 전통시장 시설 현대화사업은 중구 7곳, 남구 4곳, 동구 5곳, 북구 1곳 등 총 15곳의 시장과 상점가가 대상이다.


대전시는 올해 중앙시장 등 9개 시장 시설현대화 사업을 추진한다. 아케이드 설치, 주차장 조성, LED형광등 설치 등 모두 26개 사업을 추진하며 68억7,2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대전시는 향후 시설개선사업 위주에서 매출증대사업으로 점차 전환할 방침이다. 대전상인연합회가 주관하는 우수시장 상품 전시회를 10월중 개최하고 매월 넷째주 토요일을 전통 시장가는 날로 지정해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부산시도 서민 경제와 전통시장 및 상점가 활성화를 위한 '2013년도 전통시장 활성화 지원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올해는 32개 시장을 대상으로 지난해 보다 25억원 증액된 192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대구시의 경우 우선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온누리상품권 판매 목표액을 지난해 100억원에서 올해 150억원으로 크게 높였다. 또 아케이트, 주차장 설치 등 재래시장 시설현대화 사업을 위해 국비를 포함해 모두 123억원을 투입한다.

경기도는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해 올해 170여억원을 지원한다. 우선 시설개선 사업에 158억원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 도내 상당수의 전통시장이 아케이드 설치는 물론이고 공동물류창고 건립, 주차장 시설 확장 등이 이뤄질 전망이다.

경북 상주시는 올해부터 상인대학 운영을 통해 상인들에게 친절ㆍ서비스 교육을 강화하고 중앙시장 인근에 22억원을 투자해 다목적 광장을 조성해 각종 편의를 제공할 계획이다.

정환원 경남도 민생경제과장은 "전통시장 살리기 시책은 전국을 떠들썩하게 만들고 있는 대기업의 SSM 입점으로 인한 피해에 대항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어서 더욱 관심을 가지고 지원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