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4월 20일] 안보에 여야가 따로일 수 없다

SetSectionName(); [사설/4월 20일] 안보에 여야가 따로일 수 없다

이명박 대통령은 39차 라디오 연설을 통해 천안함 침몰사건으로 희생된 승조원 46명의 이름을 일일이 호명하며 깊은 애도와 함께 안보태세 정비를 다짐했다. 국군 통수권자인 대통령이 장병의 관명을 부르며 추도한 것은 이례적이다. 이번 사건의 충격과 슬픔이 얼마나 큰가를 보여준다. 장병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철저한 원인규명과 단호한 대처의지를 밝힘에 따라 정부의 행보가 주목된다. 이 대통령의 이번 특별연설은 천안함 침몰원인 규명과 대응을 둘러싸고 갈등과 분열 조짐을 보이고 있는 국론에 대한 우려와 수습의지도 함께 담고 있다. 대통령은 20일 여야 3당 대표와의 오찬회동을 하는 것을 비롯해 전직 대통령과 군 원로 및 종교 대표와도 초청 간담회를 갖고 대국민 담화 발표도 검토하고 있다. 대통령이 직접 국민에게 사태의 전말을 설명하고 국론 모으기에 나설 경우 근거 없는 의혹을 잠재우고 난국을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이 대통령의 지적처럼 무엇이 부족한지, 무엇이 문제인지를 철저히 찾아내 바로잡는 등 국가위기관리 시스템을 점검하고 대책을 강구하는 일이다. 이 같은 중대사를 제대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론이 뒷받침돼야 한다. 국론분열을 막고 민심을 안정시키려면 사건의 진상을 있는 그대로 국민에게 알리고 이해와 협조를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타깝게도 이번 사건에 대한 정부의 초동대응과 군 당국의 발표가 의혹투성이라 국민의 우려는 날로 증폭되고 있다. 국가안보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다. 여야가 따로일 수 없다. 더욱이 예측 불가능한 북한정권과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은 분열과 방심이다. 이런 점에서 대통령과 여야대표 간 회동에 거는 기대가 클 수밖에 없다. 우선 정부는 정보를 충분히 제공해 의혹을 해소하고 협조를 구해야 한다. 여야대표도 그동안 느낀 것을 솔직히 이야기하는 한편 안보태세 정비에 협조를 아껴서는 안 된다. '국가안보 차원의 중대한 사태'를 맞아 정치권이 단합된 모습을 보일 때 민심도 안정될 것이다. 조만간 함수가 인양되면 정확한 원인 규명에 한발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어려운 시기에 이 대통령과 여야대표, 그리고 사회 각계 지도자들과의 만남이 성공적으로 이뤄져 국가안보를 위한 지혜와 국민통합을 이끌어내기를 기대한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