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외식업체 '食파라치' 경계령

음식·위생 등 꼬투리잡고 금품·취업등 생떼<br>식품안전관리 강화따라 "표적될까" 골머리<br>'主타깃' 대형업체들 위생점검 대폭 강화


“주문한 음식을 먹고 배탈이 났다면서 금전적인 보상을 요구하는 것은 물론 취업을 시켜달라고 떼를 씁니다.” “음식에서 이물질이 나왔다고 항의하며 포털 사이트에 글을 올리거나 관련 기관에 신고하겠다고 협박합니다. 밥값을 되돌려달라거나 상품권을 요구하는 경우는 차라리 애교에 속하죠.” 5일 외식업체들에 따르면 음식이나 위생문제로 꼬투리를 잡아 돈을 요구하거나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식(食)파라치’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위생 및 고객관리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외식업체로서는 이들의 요구를 모두 들어주기 힘들지만 그렇다고 무시할 수도 없어 고민이다. 특히 여름철은 위생관리가 더욱 요구되는 시점이어서 외식업계는 자칫 식파라치들의 표적이 될까 우려하고 있다. 지난해 7월 보건복지부가 식품 안전관리와 불법행위 감시ㆍ처벌을 강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 개정된 식품위생법을 시행하면서 식파라치들의 행동반경이 넓어졌다. 이전에는 주로 대형 식품회사를 상대로 한 신고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음식점이 식파라치들의 주 타깃이 되고 있다. 특히 다점포로 운영되는 패밀리레스토랑 등 대형 외식업체들은 식파라치들의 좋은 ‘먹잇감(?)’이다. 한 패밀리레스토랑 관계자는 “각 업체 매장을 옮겨다니며 음식과 서비스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면서 분쟁을 일삼는 고객도 있다”면서 “음식 조리온도에 대해 구체적으로 지적하면서 관련 기관에 신고하겠다고 으름장을 놓는 고객도 적지않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식파라치들의 표적이 되고 있지만 패밀리레스토랑 등 대형 외식업체들이 행정 당국에 신고된 경우는 아직 많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올 1ㆍ4분기에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신고가 접수돼 총 415만원의 포상금이 지급된 77건 가운데 대부분이 영세 음식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한 외식업체 관계자는 “대형 외식업체의 경우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는데다 업체들도 고객불만이 제기될 때마다 대부분 원만한 선에서 해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신고로까지 이어지지 않은 경우가 많다”고 분석했다. 외식업체들은 식품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여름철 성수기를 맞아 식파라치가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고 위생점검 강화에 나서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인터넷이 발달하고 위생문제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사회 분위기에 편승해 최근 들어 식파라치에 가까운 악성고객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면서 “자체적인 기준을 마련해 대응하고 있지만 위생 및 고객관리를 강화해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최선의 대응책”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