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7월22일] 석유 배급제


1942년 7월22일, 미국인들이 휘발유 배급 쿠폰을 받았다. 시행 지역은 석유가 나지 않는 동부 17개주.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국가가 주도한 휘발유 배급제가 시행된 순간이다. 전시 비상수단이었지만 미국인들은 쉽게 수긍하지 않았다. ‘세계 최대 산유국에서 배급제라니!’ 휘발유를 구하러 나온 일부 시민들은 유조차를 뒤집는 소동까지 일으켰다. 플로리다주처럼 주정부가 예외를 요청하는 지역도 있었다. 미국 정부는 종합적인 대국민 설득 작업에 나섰다. 휘발유는 당장 부족하지 않지만 일본의 말레이반도 점령으로 천연고무 반입이 끊겨 국민들이 마음껏 차량을 운행하면 타이어가 많이 소모되고 군용차량에 쓰이는 타이어를 제작할 고무가 부족해진다는 논리도 내세웠다. 정부 관리나 군수업자ㆍ의사 등 차량운행이 꼭 필요한 사람들은 ‘X등급’으로 분류돼 무제한으로 휘발유를 구입했으나 대부분의 국민들은 ‘불요불급한 등급’인 ‘A등급’에 포함돼 일주일에 4갤런(약 15.3리터)씩의 휘발유를 받았다. 엄격한 배급제가 시행된 대도시에서 일부 암시장이 형성되기도 했으나 정부의 시책은 대성공을 거뒀다. 종합적인 대책을 함께 시행한 덕이다. 배급제와 함께 주유소 영업시간 제한, 적정 실내온도 유지 캠페인, 석유 냉난방 시설 가동 중단, 대중교통수단 이용 장려 등 요즘 세계 각국이 시행하는 유류 절약운동이 대부분 이때 나왔다. ‘카풀(car pool)’이라는 단어도 처음으로 등장했다. 민수용 자동차 생산까지 전면 금지시키는 강력한 시책으로 미국은 30배나 늘어난 군사용 석유 소비(외국 원조 포함)를 감당해내며 2차대전을 승리로 이끌 수 있었다. 오늘날 지구촌도 석유 위기를 맞고 있다. 역사가 말해주는 대응방법은 단 하나다. 정부와 국민의 협력과 고통분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