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스라엘, 팔 독립국 창설동의

곧 평화안 제시… 조건많아 성사는 불투명최근 미국의 반테러 연대는 사우디아라비아ㆍ인도네시아 등 이슬람 국가들의 이탈 조짐으로 흔들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도 오사마 빈 라덴이 9.11 테러 대참사 및 미국의 보복공격을 이슬람권과 그리스도권의 대결로 몰아가고 있는데다 뜨거운 감자인 팔레스타인 문제를 재차 거론, 이슬람권의 반미 정서를 더욱 부채질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창설에 동의하는 내용의 중동평화안을 제안할 것으로 알려져 미국의 대 테러전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와 관련, 영국의 정보분야 전문지 포린 리포트는 17일 조만간 이스라엘의 아리엘 샤론 총리가 ▲ 요르단강 서안에서의 확실한 철수 ▲ 가자지구 전면 철수 ▲ 이들 지역에서의 유대인 정착촌 해체 등을 미국에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물론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창설은 이미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간 원칙적 합의가 이뤄진 사항으로 전혀 새로운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샤론 정부는 그 동안 팔레스타인의 수도를 동 예루살렘으로 정하는 문제 등에 있어 강경한 입장을 견지, 양측간 지속적인 유혈충돌을 빚어왔다. 국제문제 전문가들은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하면 이번에 이스라엘이 돌연 중동평화안을 들고 나온 것은 아랍 달래기를 위한 미국측의 압력에 굴복했기 때문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실제 이스라엘은 9.11 테러 대참사 직후 효과적인 보복전 수행을 위해 미국이 아랍과의 연대를 강화하자 이를 굴욕외교에 비유하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이 이에 발끈, 독자적인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창설안을 제시하려 하자 '등 떠밀리기 식'의 중동평화안을 먼저 내 놨다는 것. 이스라엘은 이처럼 미국의 팔레스타인 껴안기에 밀려 중동평화안을 제시했지만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에 적대적인 국가와 협정이나 조약을 맺지 말아야 하며 국경은 이스라엘군이 관할해야 한다고 주장, 최종 성사까지는 험난한 길을 걸어야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여기에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창설은 비무장 상태를 전제로 해야 하며 특히 예루살렘이 분할되지 않은 채 이스라엘의 수도로 남아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팔레스타인을 비롯한 아랍권이 이를 수용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정구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