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법정인증 마크 'KC'로 단일화

내년부터 제품 출시에 부과되는 법정인증이 국가통합인증마크(KC)로 단일화된다. 또 600여종의 국가표준을 개발하는 사업에 1,888억원이 투입된다. 정부는 5일 5차 국가표준심의회를 열고 법정인증제도의 중복을 해소하고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시안과 국가표준시행계획을 의결했다. 이에 따라 현재까지 두 곳 이상의 부처에서 인증 받게 돼 있는 33개 제품은 내년부터 법정의무인증 마크인 국가통합인증마크(KC)만 받으면 된다. 제품을 출시하기 전에 법정인증을 받아야 하는 제품은 총 1,190여개에 달한다. 정부는 법정의무인증뿐만 아니라 KS인증ㆍ환경마크 등 167개 제품에 해당하는 임의인증까지 부처 간 상호 인증제를 확대할 계획이다. 심의회는 또 ▦국가표준체계 선진화 ▦표준기술 하부구조 강화 ▦국제표준화 대응 역량강화 ▦민간표준 활성화 등 4대 분야 106개 과제에 1,888억원을 배정해 600종의 국가표준을 개발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