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지경부, 내달 中 전담 조직 만든다

'협력기획과' 신설… 하반기에 '中내수시장 진출 가속화 전략'도 마련



지식경제부가 오는 8월 중국 전담 조직인 중국협력기획과(가칭)를 신설한다. 일본이 한국을 파악하기 위해 경제산업성에 한국실(室)을 별도 조직으로 만든 것과 같은 맥락이다. 정부는 하반기에 중국 내수시장 진출 가속화 전략도 마련할 계획이다. 20일 지경부ㆍ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중국 내수시장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추세에 대비해 기존 통상협력정책국 내에 중러협력과에서 중국 파트를 떼어내 중국협력기획과를 무역정책국에 신설하는 조직개편을 다음달 시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업무가 과중될 것을 고려해 무역국의 자유무역협정팀은 통상국으로 옮긴다. 정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기존 중러협력과는 중국ㆍ러시아ㆍ대만ㆍ홍콩 등 여러 국가의 지역정책 현안들을 맡고 있어 점차 비중이 커져가는 중국 시장 진출방안을 고민하기 위해 조직개편을 단행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정부가 중국 전담 조직을 만드는 것은 중국이 내수 성장에 따라 글로벌 생산기지에서 소비시장으로 체질이 바뀌면서 우리에게도 제3국 수출을 위한 공장에서 새로운 시장으로 의미가 변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경부는 '중국 내수시장 진출 가속화 전략'을 마련, 하반기에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는 우선 내수시장 진출 인프라 확충을 위해 내년에 중국 내륙지방을 중심으로 KOTRA 해외비즈니스센터(KBC)를 6~7개 추가하고 KOTRA 내에 중국연구소를 설립하기로 했다. 그간 중국의 성(省)ㆍ시(市)별 연구와 조사가 부족했다는 판단에 따라 산업연구원(KIET)ㆍ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등 연구기관의 역량을 높여 지역별ㆍ소비특성별 정교한 진출전략을 수립하고 중국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효과를 면밀히 살피고 유통ㆍ게임 등의 서비스산업도 본격 공략할 방침이다. 특히 최근 중국과 대만이 경제협력기본협정(ECFA)을 체결한 것은 정부가 긴장감을 늦추지 못하게 한 큰 요인이 됐다. 내년 1월부터 본격적인 관세 인하가 시작되면 석유화학ㆍ자동차부품ㆍ전자ㆍ기계 등의 분야에서 가격경쟁력이 떨어져 한국 제품의 중국시장 입지가 약화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지경부는 김경식 무역투자실장 주재로 ECFA 영향분석 민관합동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해 파급효과와 대응책을 살피고 있다. 일각에서는 한중 FTA 발효까지 시간이 걸리는 점을 고려해 대만을 통한 우회적인 중국시장 공략도 제시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중국의 한국 직접투자(FDI)를 높이기 위해 지난 5월 투자유치ㆍ관리 업무를 맡는 '한중투자촉진센터(차이나데스크)'를 KOTRA 산하에 설립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점차 높아지는 중국 의존도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수출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상반기 25.5%(519억2,800만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전체 부품소재 무역수지 흑자 중 3분의1(133억달러)을 중국에서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최용록 인하대 국제통상학부 교수는 "중국이 수출전진기지로서의 메리트가 점차 소멸되면서 생존을 위해서는 내수시장으로 전략을 바꿔야 한다"며 "상품 분야에서는 품질ㆍ디자인ㆍ상표 등의 경쟁력을, 동시에 원자재ㆍ소재 수출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