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부, 진상파악·수습책 분주

정부는 15일 황우석 교수의 줄기세포 자체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자 진상 파악과 함께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수습방안을 논의하는 등 긴박한 움직임을 보였다. 과학기술부는 특히 마지막 순간까지 황 교수의 연구성과를 옹호, 거듭 지원방침을 거듭 천명한 상태여서 이번 사태의 엄청난 충격에 헤어나지 못한 채 망연자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영식 과기부 기초연구국장은 이날 저녁 모처에서 외국관리들과 회의 도중 줄기세포 자체가 없었다는 노성일 이사장의 발언 소식을 보고 받고 급히 사무실로 복귀, 진상파악과 대책을 논의했다. 김 국장은 “워낙 갑작스런 소식이어서 경황이 없는 상태”라며 “정확한 경위가 파악하고 난 뒤에 신중하게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과기부는 이날 오후 줄기세포가 ‘가짜’라는 관계자의 전화통화가 일부 언론에보도될 때까지 상황 파악을 하지 못하다 오후 7시께부터 대응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보건복지부도 사태 파악에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면서 향후 파장에 대해 논의하는 등 심각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복지부는 그동안 황 교수가 소장으로 있던 세계줄기세포허브에 대해 각종 지원책을 강구해 왔으나 이번 사태를 계기로 지원책 자체를 백지화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과학계의 한 원로는 이와 관련, “아직 구체적인 상황이 파악되지 않아 언급하기 어렵지만 매우 심각한 문제”라며 이번 사태 파장에 대한 우려를 감추지 못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