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6월 17일] 성과 공유하는 산학협력

기술이 급격히 변화하는 이 시대의 기업에는 인재가 기업경쟁력의 원천이다. 인재의 확보와 육성이 기업의 발전과 경쟁력에 중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이유로 대학과 기업체ㆍ연구기관 등 과학기술 분야의 발 빠른 대응이 요구되고 있으며 산학협력의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다. 산학협력을 통한 기대효과는 다면적이다. 대학은 산학연계 클러스터로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인력을 양성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고 기업은 기술혁신과 인력확보를 통해 재교육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산학연계 공동 프로젝트로 기술경쟁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취업률 향상과 지역 중심대학 특성화로 수도권의 과밀화 해소 등의 간접적인 효과도 거둘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산학협력의 경우 선진국들과 비교해볼 때 그 폭이나 깊이가 제한적이고 형식적인 동반관계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심지어 기업은 산학협력을 우수인력 확보수단으로 대학은 연구비 확보의 방편으로 여기면서 산학 간 ‘상호협력’이 ‘상호갈등’으로 비화하기도 한다. 기업은 대학이 공급하는 인력의 현장 실무능력이 떨어져 기업체가 신입사원 훈련비용을 과다하게 부담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한편 대학은 우수인력 양성을 위한 첨단 분야 실무교육 과정에 많은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체 재원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항변한다. 여기서 우리는 기업의 우수인력 확보와 대학의 첨단연구 활성화가 동전의 양면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산학협력이 성공하기 위해 막혀 있는 기업과 대학, 정부와 기업, 대학과 정부의 의사소통 출구를 여는 일이 우선돼야 한다. 산ㆍ학ㆍ연ㆍ관 협력의 각 주체는 필요한 장점과 특성을 갖추고 서로 보완적인 차원에서 자발적으로 참여해야 하며 정부는 일관성 있는 정책으로 도움을 줘야 한다. 단기적인 성과에 얽매이거나 보여주기식 사업은 결국 대학과 기업의 기초연구력을 떨어뜨려 함께 좌초할 수 있다. 협약 당사자들의 상호존중을 기반으로 산학 일체형 클러스터가 구축될 때 산학협력은 모두가 성과를 공유하는 장으로서 기능을 다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