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기업 10곳중 7곳 "도요타 사태 반면교사 삼을것"

상의 1420개사 조사

도요타자동차의 대량 리콜 사태 이후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이 이를 '반면교사로 삼겠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6곳 이상이 '남의 일이 아니다'라고 인식했다. 13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제조업체 1,420개사를 대상으로 도요타 사태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이 사태로 경영방침에 변화가 있었냐는 질문에 20.6%가 '눈에 띌 만한 변화가 있었다'고 답했다. 이밖에 52.4%는'특별한 변화는 없었지만 품질과 안전문제에 대한 인식이 강화됐다'고 밝혀 응답자의 73%가 도요타 사태를 경영개선 및 품질인식 강화의 계기로 삼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같은 업종인 자동차 업계에서는 '경영방침에 변화가 있었다'는 응답이 60.7%에 달했다. 이 가운데 중소기업(17.4%)보다 대기업(29.2%)에서 경영방침의 변화가 더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경영방침 변화의 내용은 ▦완성품의 품질ㆍ안전관리활동 강화(52.6%) ▦부품ㆍ소재 협력업체관리 강화(27.8%) ▦문제발생시 대응체계 확립(15.7%)이 주를 이뤘다. 도요타 사태와 같은 일이 당사에도 발생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64.4%가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고 답했고 '가능성이 크다'고 응답한 기업도 33.1%에 달했다. 이번 사태로 국내 관련 업계가 반사이익을 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그렇다'는 응답이 66.3%를 차지했다. 구체적인 영향으로는 '시장점유율 상승'이 60.5%로 가장 많았고 한국 자동차 이미지 개선(17.3%), 부품 및 품질관리 강화의 기회(11.6%), 부품업체 판로확대(10.3%) 등이 꼽혔다. 도요타 사태가 일어난 배경에 대해서는 59.9%가 문제발생 초기의 대응미흡을 지적했다. 박종남 대한상의 조사2본부장은 "도요타 리콜 파문을 계기로 국내 기업들도 품질관리 시스템을 재점검하고 모기업과 협력사 간 상생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