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10월11일] 소련 KGB 해체

외형이 바뀐다고 본질까지 변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빗대 흔히 ‘호박에 줄 긋는다고 수박 되나’라는 우스갯소리를 한다. 중앙정보부ㆍ국가안전기획부ㆍ국가정보원 등으로 명찰을 바꿔가며 환골탈태를 다짐했던 대통령 직속 국정원이 요즘 도청사건으로 곤욕을 치르고 있다. 대부분 국가는 정보기관을 운영한다. 정보기관은 국가 안보를 위해 보이지 않는 전쟁을 수행하면서 신화화되기도 했다. 그러나 정보기관은 국가의 안보와 관련된 업무에 충실할 때 존재가치가 인정된다. 국가의 안위가 아니라 정권의 안보를 위해 딴 짓을 할 때는 탈이 나게 마련이다.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정보기관은 미국의 CIA, 소련의 KGB, 영국의 MI-6, 이스라엘의 모사드 등을 꼽는다. 냉전시대를 양분하며 CIA의 맞상대였던 국가보안위원회, 즉 KGB가 1991년 10월11일 해체됐다. 1917년 12월20일 체카(Cheka)라는 비밀경찰기구로 출발한 KGB는 이후 베체카(Vecheka)라는 중앙집권적 행정조직으로 확대된 후 게페우(GPU), 오게페우(OGPU), 엔카베테(NKVD), 엔카게베(NKGB), 엠게베(MGB)로 개칭됐다가 1954년 4월27일부터 국가보안위원회에서 이를 담당했다. KGB는 정부기구로 당 서기국과 직접 연결돼 수백만 명의 협력자를 가진 거대 조직으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1991년 8월 소련연방 붕괴로 KGB도 해체된 후 연방안전사무소(AFB)를 거쳐 1992년 1월 러시아안전부(MBR)로, 1993년 연방방첩국(FSK)으로 격하됐다. 체첸사태 등으로 정보강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자 보리스 옐친 대통령은 1995년 러시아연방안전국(FSB)으로 개편, 정보기관의 성격을 강화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박민수 편집위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