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금속노조 '발레오 파업' 전격 유보

사측 직장폐쇄 맞서 금속노조 경주지부 22개 사업장 연대 파업<br>영남권·금속노조 차원 파업 확산 가능성도

SetSectionName(); 금속노조 '발레오 파업' 전격 유보 사측과 추가협상키로… 올 춘투에 어떤 영향 줄지 주목10개 車부품회사 대표 경주지부 간부 4명 고소 충주= 서민우기자 ingaghi@sed.co.kr

현대자동차 부품회사인 발레오전장시스템코리아의 직장폐쇄에 맞서 민주노총 금속노조 경주지부 22개 사업장이 9일부터 시작하려던 무기한 연대 총파업이 유보됐다. 이번 금속노조의 돌연한 파업 유보는 최근 민주노총이 강경 노동투쟁 대신 온건한 노선을 걷겠다는 신호를 보인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올해 노동계의 춘투 방향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 금속노조는 9일 오후 충북 충주시 충주리조트에서 열린 제27차 임시대의원대회에서 긴급중앙집행위원회회의를 열고 경주지부의 연대파업과 관련한 지원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금속노조는 특별결의를 통해 경주지부의 투쟁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금속노조는 오는 12일 경주지역에서 확대간부 집회를 갖고, 사측이 지부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다음주 중 금속노조 차원에서 대규모 집회를 벌일 예정이다. 이날 저녁 경주지부도 발레오 사업장의 직장폐쇄와 관련해 연대 총파업에 들어가려던 계획을 일단 유보하기로 했다. 대신 오는 12일 4시간 부분 파업을 하기로 결정했다. 경주지부 조합원들은 이에 따라 이날 야간조부터 정상 조업에 들어갔다. 금속노조 경주지부가 당초 계획한 연대 총파업을 돌연 유보한 것은 회사측과의 협상을 좀더 이어가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에서는 발레오 사태가 금속노조 차원에서 볼 때 연대파업을 할 정도로 큰 사안이 아니라는 인식도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연대총파업을 계획한 금속노조 경주지부는 조합원이 약 3,300 여명으로 산하에 22개 사업장이 있다. 이 중 18개 사업장이 현대자동차에 시동모터, 발전기 등을 생산 납품하는 협력업체들이다. 이들 사업장의 파업유보로 한숨 돌렸지만 불씨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한효섭 금속노조 경주지부장도 "이날 결정은 파업 철회가 절대 아니다"라며 "현장을 좀더 조직화해 파급력을 높이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현대차 측은 일단 납품하는 금속노조 경남지부 산하 사업장 18곳 중 실제 파업에 참여한 사업장은 10 곳에 그쳐 파업의 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파업이 다시 시작되고 장기화할 경우 재고 소진에 따른 생산차질을 피할 수 없고, 금속노조 차원으로 파업이 확산될 가능성도 여전해 일각에서는 이번 연대총파업이 춘투의 도화선이 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경주 지역의 10개 자동차 부품회사 대표들은 이날 공동으로 금속노조 경주지부 한효섭 지부장과 수석 부지부장, 부지부장 2명 등 4명에 대한 고소장을 접수했다. 회사 대표들은 고소장에서 "금속노조 경주지부 지부장 등이 지난 4~5일 생산직 사원과 지회 확대간부에게 불법파업을 지시해 실행하고 5일에는 통상적으로 실시해오던 주ㆍ야간 연장근로 집단거부 지침을 전조합원에 하달해 생산활동에 관한 업무를 방해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6~7일에는 주ㆍ야간 특근 거부를 지시해 전체 생산라인을 중단시켰고 8일에는 4시간 파업 및 잔업 거부를 지시해 업무를 방해했다"면서 "10개사와 전혀 무관한 발레오 노사분쟁을 단순히 지원한다는 목적으로 쟁위행위 절차 없이 불법행위를 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고소장이 접수됨에 따라 이날 밤 고소인 조사를 거쳐 피해규모 등을 파악한 뒤 금속노조 경주지부장 등 집행부를 불러 조사를 벌일 계획이다. 발레오 노사는 그동안 경비직 조합원 5명의 현장 배치와 간접부서 아웃소싱 문제로 갈등을 빚어왔다. 사측은 지난달 16일 "2월 4일부터 금속노조 발레오만도지회의 쟁위 행위로 정상적인 회사의 경영이 불가함에 따라 회사의 재산과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46조의 규정에 의거 부분적으로 직장을 폐쇄한다"고 밝히고 조합원들의 출입을 통제해왔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