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남북 경협은… 기업들 "사실상 중단 아니냐" 초긴장

[천안함 北소행 공식발표]<br>개성공단 입주업체 일단 정상 가동속<br>시나리오별로 대응전략 마련 등 분주

북한과 거래해온 기업들은 20일 천안함 조사 결과 발표에 대해 "남북경협이 사실상 전면 중단되는 게 아니냐"며 바짝 긴장하고 있다. 개성공단 입주업체들은 일단 정상 가동을 유지하고 있지만 사태 추이에 따라 시나리오별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등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배해동 개성공단입주기업협의회 회장은 "천안함 침몰 원인이 미리 공개돼왔기 때문에 이번 조사 결과에 업체들이 크게 동요하지 않고 있다"며 "정부에서도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에 대해 정상적인 생산활동을 보장하겠다고 공표한 만큼 평소와 다름없이 조업에 열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일단 개성공단에 미칠 파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면서도 추가 투자가 중단되는 등 기업활동 위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개성공단 입주를 준비해왔던 일부 업체들은 당초 예정보다 입주시기를 늦추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창근 SJ테크 대표는 "개성공단에 있는 임직원들에게 개별활동을 자제하고 신변안전에신경 쓰라고 당부했다"고 말했다. 한 업체 관계자는 "북측이 육로통행 금지 등 극단적 조치를 취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에 대비해 자체적으로 대응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부분의 남북경협 기업들은 정부의 조치로 사업활동 자체가 벽에 부딪힌 만큼 상당한 손실을 입게 됐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실제 남북경협 활동을 벌이고 있는 780여개 업체 가운데 보험에 가입한 곳은 2~3곳에 불과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개성공단 입주업체 역시 자체적으로 철수를 결정할 경우 손실을 보전받을 수 없어 아직까지 철수문제를 드러내놓고 말하기는 어려운 분위기다. 이에 따라 정치권 일각에서는 남북경협 기업들의 퇴로를 보장하기 위해 자발적인 철수기업에 대해서도 정부가 보험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이날 성명에서 "개성공단에 입주한 기업들이 어떠한 정치적 희생양이 되지 않도록 경제적인 관점에서 기업활동이 유지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