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은 치매 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는 2050년이면 270만명 이상의 노인이 치매를 앓을 것으로 추산됐다.
2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2년 치매 유병률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체 노인 인구 589만명 중 치매 환자는 54만755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전체 노인 인구 중 치매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뜻하는 치매 유병률은 지난 2008년 8.40%, 2010년 8.74%, 2012년 9.18%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 비율은 2030년과 2050년에는 각각 10.03%, 15.06%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54만명 수준인 치매 환자가 20년마다 2배씩 늘어나는 속도로 급증해 2050년이면 무려 271만명의 노인이 치매 때문에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는 얘기다.
특히 또래에 비해 인지기능이 다소 떨어져 정상에서 치매로 넘어가는 중간 단계로 분류되는 '경도 인지장애' 유병률은 지난해 기준으로 벌써 27.82%를 기록해 전체 노인 인구의 4분의1 이상이 치매 위험에서 자유롭지 않은 실정이다.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는 두부 외상 경력 외에 사별ㆍ이혼ㆍ별거 등에 따른 배우자의 부재, 우울증 등이 꼽혔다.
김기웅 분당 서울대 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배우자가 있는 노인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치매에 걸릴 확률이 3배가량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며 "최근 급증하고 있는 독거 노인의 숫자가 치매 환자 증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처럼 치매 환자의 폭증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증가가 우려되자 정부는 치매 관리를 국정과제로 확정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지난해 수립한 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에 따라 정부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치매특별등급(가칭)'을 신설하고 주야간 보호시설을 확충해 치매 환자의 요양부담을 덜어줄 방침이다.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월 3만원 이내의 약제비 지원도 지난해 전국 가구 평균소득의 50% 이하에서 올해 100% 이하로 확대한다. 아울러 치매환자와 가족에게 전문상담원이 각종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치매 상담콜센터도 10월 개통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해 4~12월 분당 서울대 병원에서 진료 받은 65세 이상 6,008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전국 환자 규모와 경향 등을 추산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