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다국적 제약사,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 악용 소지 있는데…

재정누수 막아야 할 정부, 늑장대처 논란

무차별적으로 특허 주장하면 9개월간 약가 100% 지급받아

건보재정 연 수백억 손실 불가피

'부당이익 환수' 입법예고 하고도 정부, 1년 지나서야 개정안 제출

국내외 제약사들이 약값을 부당하게 올려 받아 건강보험 재정을 축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행정처분을 통해 부당이익을 환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건강보험법 개정안을 지난해 5월 입법 예고한 뒤 근 1년 동안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아 늑장대처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당장 지난달 15일부터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가 시행되면서 다국적 제약사들이 무차별적으로 특허를 주장하며 9개월간 약값의 100%를 다 받을 수 있어 재정누수가 우려되는데도 정부는 최근에야 국회에 개정안을 보내 입법에 나서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한 푼이라도 재정누수를 막아야 할 정부가 뒷짐만 지고 있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후속으로 지난달부터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이 제도는 제네릭(복제약) 업체가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품판매 허가를 신청할 때 오리지널 회사에 신청 사실을 통보하도록 하고 오리지널 업체는 해당 제품이 자사의 특허를 침해했다고 판단되면 식약처에 판매금지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판매금지 기간은 최장 9개월이다. 지금까지 제네릭 제품의 판매는 특허심판원이나 법원의 판결로만 결정돼왔지만 이제는 식약처의 처분으로도 시판 여부가 결정되게 되는 것이다.

관련기사



문제는 이 제도가 다국적 제약사들에 의해 악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오리지널 제약사들이 무조건 특허침해 우려가 있다며 제네릭의 시판을 막으면 최대 9개월간 건강보험공단은 약가(보험급여)의 100%를 그대로 지급할 수밖에 없다. 오리지널 의약품 가격은 제네릭 제품이 등재되면 약가가 70%로 떨어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건보 재정으로부터 30%의 부당이익을 취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 셈이다.

업계에서는 오리지널 제약사가 많게는 한해 약 1,500억원의 건보 급여를 받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제네릭 제품의 판매금지로 건보 재정이 입게 되는 손실은 연간 수백억원이 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같은 사태를 막기 위해 정부는 지난해 5월 부당이익 환수를 용이하게 하는 내용의 건보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지만 1년 가까이 지난 이달 들어서야 법안을 국회에 보냈다. 개정안에는 오리지널 제약사가 특허소송 등에서 질 경우 제네릭 제품의 판매금지 기간에 비싼 약값으로 취한 부당이득을 행정처분으로 강제 환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와 유사한 제도를 가진 호주의 경우에도 약사법에 제약사가 제대로 책정되지 않은 가격으로 취한 부당이익은 환수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다"며 "신청 사실 통보 기간(20일 이내)과 판매금지 신청 기간(45일 이내) 등을 감안하면 늦어도 4월 국회에서는 법안이 통과돼야 제약사의 부당이익으로 입는 건보 재정 손실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