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선택! 지역CEO] 광주

이정일 민주공천 탈락 파장 주목 ■ 광주 광주시장 선거에서는 민주당이 경선에서 선출된 이정일 후보가 금품 살포 혐의로 물의를 빚음에 따라 막판에 광주시 지부가 공천한 박광태 의원으로 바꿔 공천했다. 박 후보 이외에도 한나라당 이환의 후보, 민주노동당 박종현, 무소속 정동년, 정호선, 이승채, 정구선 후보 등 7명이 출마를 선언, 16대시도 가운데 가장 많은 후보가 난립하고 있다. 또 이정일 씨가 "중앙당이 후보 등록 당일 공천을 취소한 것은 피선거권을 박탈하는 위헌의 소지가 있어 법적 대응 하겠다"고 밝혀 이 사태가 선거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 민주당 박 후보는 3선(14ㆍ15ㆍ16대) 의원으로 현재 국회 산업자원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민주당의 전신인 국민회의의 제2정책조정위원장, 경제 대책 위원장, 당무위원 등을 역임했다. 박 후보는 민주당의 전통적 텃밭인 호남에서도 반 민주당 정서가 확산되고 있다고 보고 이번 사태의 진화에 주력하면서 광주와 전남이 상생하는 시대를 만들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또 광주시 재정을 압박하는 지하철 건설은 국고지원 비율을 50%에서 대폭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아울러 펴고 있다. 이와 함께 일자리 창출을 위해 현재 추진중인 광산업의 적극 육성은 물론 우선적으로 광주경제의 35%를 차지하는 기아자동차 연관산업 활성화와 자동차 부품산업 육성, 공항ㆍ항만 등 사회간접자본 확충 등에 힘을 쏟을 계획이다. 한나라당 이 후보는 광주지역의 대표적인 구 여권 인사다. 경향신문 기자로 활동 중 박정희 당시 대통령의 눈에 띄어 관계에 발을 디뎠다. 뒤늦게 선거전에 뛰어든 데다 소속 정당이 광주에서 열세인 점을 감안, 화려한 정책공약보다는 현실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재 광주의 최대현안은 전남도청 이전에 따른 도심 공동화 현상이라는 게 한나라당의 기본 입장이다. 이 후보측은 이미 매입한 도청부지는 목포시와 무안ㆍ신안군을 묶은 통합시청 부지로 활용, 거대 중국시장의 물류에 대비한 목포항 배후단지로 조성하고 광주와 전남을 통합하는 시ㆍ도 통합을 주장하고 있다. 무소속 정동년 후보는 자생력 있는 지역경제를 위해 제2 농수산물 도매시장 건립, 광산업ㆍ첨단지식산업 육성, 기아자동차 신차종 생산라인 유치 및 부품공장 이전 추진, 청년 실업대책마련 등의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정호선 후보는 공학도답게 벤처기업 창업을 지원해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대학 졸업생 1인당 1,000만원 선에서 창업자금을 지원하고 국내 인쇄물과 해외도서 등 전자 출판물을 수주하는 등의 방법으로 100% 취업률을 달성한다는 다소 이상적인 공약도 내세우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