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中企 자금난 새 악재로 ‘몸살’

중소기업계가 운전자금 지원책 부족, 보증기관 보증률 감소, 은행대출 축소 등으로 극심한 돈 가뭄을 앓고 있다. 특히 이 같은 요인들은 지난해부터 경기침체에 따른 판매대금 회수지연, 납품단가 인하 등으로 몸살을 앓는 업계의 자금 부담을 악화시키고 있어 올해 중소업계에는 최악의 자금난이 도래할 것이라는 전망마저 제기되고 있다. 일선 중소기업들은 지난해 말부터 경영안정자금 등 각종 운전자금 지원책이 대거 사라지면서 단기 자금난을 호소하고 있다. 중소기업진흥공단이 운영하던 경영안정자금은 용도가 정해져 있지 않고 5.9% 금리에 1년거치 2년분할 상환 등 대출조건이 좋아 중소기업에게 가장 요긴한 정책자금으로 꼽혔으나 `시중 자금이 풍부하다`는 이유로 지난해 말 폐지됐다. 이로 인해 설비자금 이외에는 적절한 자금지원정책이 부진해 운전자금 구하기가 더욱 어려워진 상태다. 경기도 반월공단의 크레인 부품업체 S사는 작년 말 경영안정자금 폐지 이후 달리 운전자금을 마련할 길이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S사를 운영하는 한 모씨(56)는 “당장 공장 가동이 힘든 판국에 누가 설비자금을 대출 받겠느냐”며 “중기청은 은행대출이 늘어서 정책자금이 필요없다고 하는데 도대체 현실을 어떻게 보는지 모르겠다”고 불만을 터트렸다. 신용보증기금, 기술신용보증기금 등의 보증기관을 통한 중소기업 대출도 까다로워져 자금난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들 기관의 보증사고율이 예년보다 두 배 이상 높아지면서(신보 5.8%, 기보 10.2%) 심사를 까다롭게 하는 등 보증 자체를 줄이고 있기 때문. 서울디지털산업단지내에서 환경가전업체 P사를 운영하는 강 모씨(45)는 “현재 우리회사가 가진 기술력과 성장잠재력으로 지난해는 1억여원 정도의 대출은 쉽게 받았지만 지금은 몇 천만원도 대출해주지 않는다”고 전했다. 동시에 은행권 대출심사 강화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일선 은행들이 중소기업 대출 부실과 연체율 상승을 지적하며 잇따라 연체 감소, 대출심사 강화 지시를 내리고 있기 때문. 이로 인해 돈 구할 길 업는 일부 업체들은 은행으로부터 여신 조기상환 요구에 시달려 사채시장까지 찾고 있다. 경기도 시화공단서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D사는 최근 급히 운전자금을 구하기 위해 10년간 거래한 은행을 찾았지만 오히려 은행으로부터 대출금 조기상환을 요구 받았다. 대출비중 증가율이 높으니 연체를 줄이라는 지시때문이라는 게 은행 여신담당자의 대답이었다. 이 회사 장모(52)씨는 “직원월급마저 3개월째 밀린데다 원자재 가격은 올라 급히 은행을 찾았지만 이런 사정은 아랑곳하지 않더라”고 하소연했다. 결국 장씨는 자금확보를 위해 사채시장을 찾았다. 중소업계는 경기침체로 인한 판매대금 회수지연에 원자재 상승에 대출감소마저 겹쳐 이른 시일 내에 상당수 업체들이 조업을 중단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현상경기자 hsk@sed.co.kr>

관련기사



현상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