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전국가구 실질소득 감소세 전환

도시근로자 소득증가율 환란후 최저<br>평균소비성향은 23년만에 최고 수준

전국 가구의 실질소득이 올해 3.4분기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과거의 관련 통계가 없으나 실질소득이 감소한 것은 2002년 3.4분기 이후 3년만에 처음인 것으로 보인다. 또 도시에 있는 근로자가구 소득의 증가율도 환란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도시 근로자가구의 소비 증가율은 올들어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라가면서 평균소비성향은 3.4분기 기준으로 23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3.4분기 가계수지 동향'에 따르면 전국가구(농어가 가구제외)의 소득은 월평균 294만8천700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의 288만7천500원보다 2.1% 늘어났다. 전국가구의 소득 증가율은 지난해 1.4분기 6.8%, 2.4분기 6.4%, 3.4분기 7.3%,4.4분기 3.7% 등으로 3% 아래로 떨어진 적이 없었고 올들어서도 1.4분기 5.8%, 2.4분기 4.4% 등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2.3%)을 감안한 전국가구 실질소득은 올해 3.4분기에 월평균249만2천600원으로 작년 동기의 288만7천500원에 비해 0.2% 줄어들었다. 최연옥 통계청 고용복지통계과장은 "전국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가계수지 통계는2003년부터 작성되기 시작한 만큼 시계열 통계는 없지만 2002년 3.4분기에 실질소득이 감소세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때 이후 처음으로 실질소득이 마이너스로 전환했다"면서 "이는교역조건 악화로 이익이 줄어든 기업들이 작년에 비해 상여금을 덜 지급한데 따른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도시지역 근로자가구의 소득은 월평균 331만9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321만5천500원에 비해 3.0%가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 증가율은 모든 분기를 통틀어 외환위기 직후인 99년 2.4분기의 0.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도시 근로자가구의 가계 지출액은 월평균 259만8천300원으로 작년 같은기간의 241만7천100원보다 5.2%가 늘어났다. 이 증가율은 올해 1.4분기의 4.9%, 2.4분기의 3.9%에 비해 높아졌다 가계지출 가운데 소비지출은 4.0%가 증가한 215만2천700원에에 이르렀고 비소비지출(조세.공적연금.사회보험 등)은 11.3% 늘어난 44만5천700원이었다. 최 과장은 "비소비지출 가운데 조세 증가율이 무려 20.2%에 이르렀다"고 밝히고"이는 재산세 납부시기가 작년에는 7월과 10월이었으나 올해는 10월이 9월로 변경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소비지출을 처분가능소득(전체소득-비소비지출)으로 나눠 계산한 평균소비성향은 도시근로자가구의 경우 75.1%에 이르러 3.4분기 기준으로는 82년 77.0%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편, 상위 20% 계층의 소득을 하위 20% 계층의 소득으로 나눠 계산하는 소득배율의 경우 전국 가구는 7.28로 작년 같은 기간의 7.30에 비해 조금 낮아졌고 도시근로자 가구도 5.35에서 5.34로 소폭 내려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