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자금부터 경영·기술까지 연계 패키지형 지원

'끝까지' 확실하게 밀어준다<br>■ 기술혁신형 창업 활성화<br>고용창출력 10배·매출 6배등… 일반中企보다 파급효과 월등

중소기업청이 기술혁신형 창업 활성화 대책을 내놓은 것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창업이 ‘벤처 거품’ 이후 위험이 크다는 이유로 크게 위축됐다는 판단 때문이다. 기술혁신형 기업의 경우 일반 중소기업에 비해 고용 창출능력은 10배, 매출은 6배에 달하는 등 경제적 파급 효과에서 월등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기술혁신형 기업의 창업이 부진한 만큼 이런 기업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뜻이다. 이번 대책에서 눈여겨볼 점은 과거와는 달리 자금 등 특정 분야에 대한 개별적인 지원이 아니라 자금ㆍ경영ㆍ기술 등을 연계한 패키지형 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 정부의 의지대로 이번 대책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오는 4월 모태펀드 출범 등 다른 지원책과 함께 기술력이 뛰어난 벤처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예비 창업자에게 자금ㆍ경영 등 종합지원=이번 대책의 핵심은 기술력이 뛰어난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자금ㆍ경영 등 종합적인 지원이 제공된다는 것. 지원내용은 ▦기술 창업자에 대한 창업 실무 교육 ▦창투사와 연계한 투ㆍ융자지원 ▦창업보육센터(BI) 입주우선권 부여 ▦사업 개시 후 경영ㆍ기술 지원서비스 등으로 그야말로 맞춤형 종합지원이라고 할 수 있다. 중기청은 우선 4월까지 전국에 걸쳐 대학교 위주로 10개 교육기관을 선정할 예정이다. 그 후 공고를 거쳐 6월까지 300명의 예비 창업자를 뽑아 10개 교육기관별로 4개월간 창업실무 등의 교육을 진행한 후 200명을 최종 선발할 계획이다. 선발된 200명은 1인당 최대 1억원의 신용대출을 얻을 수 있고 창업 컨설팅, 창업자금, 보육센터 입주 등 창업지원 패키지에 따른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중기청의 한 관계자는 “4개월간의 교육 이수 후 민간투자가 가능해지는 시기까지 설계된 창업지원 패키지에 따라 단계별로 체계적인 지원에 주력하는 동시에 실제 창투조합출자에도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험실 창업도 육성=중기청은 아울러 교수와 연구원의 실험실 창업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총 750억원을 들여 연간 200개씩, 5년간 1,000개를 지원하게 된다. 창업 대상자에게는 융자혜택이 주어지며, 특히 모태펀드에서 일부 자금을 떼어 ‘특수목적펀드’를 설립한 후 실험실 벤처기업에 출자할 계획이다. 중기청의 한 관계자는 “아직 펀드 규모가 확정되지는 않았다”며 “출자는 경영권 문제와 직결되는 만큼 융자보다 출자를 무작정 선호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4월부터는 BI에 대한 구조조정을 단행해 현재 289개인 BI를 연말까지 250개 정도로 축소할 계획이다. 또 벤처기업 보육 성과에 따라 연간 지원금을 ▦A급(전체의 20%) 5,000만원 ▦B급(30%) 4,000만원 ▦C급(30%) 3,000만원 ▦D급(20%) 지원 중단 등으로 차등 배분해 경쟁체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