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제차 수리비 국산의 3배

평균 276만원… 부품가격 4.7배

외제차 구매를 가장 주저하게 만드는 원인이 높은 수리비용이다. 외제차는 국산차에 비해 수리비 부담이 얼마나 더 클까. 작년 자동차 수리비용을 분석해봤더니 외제차 평균 수리비가 국산차 평균보다 약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개발원이 29일 내놓은 개인용 자동차보험 가입과 손해특성 분석자료를 보면 작년 한해 외제차 평균 수리비는 276만원으로 국산차(94만원)의 2.9배 수준으로 조사됐다.


수리비 내역 중에선 부품가격의 차이가 컸다. 인건비나 도장료는 국산차에 비해 각가 2.0배, 2.3배였는데 부품가격은 4.7배나 높았다.

관련기사



평균 차량금액도 3배에 가까웠다. 외제차 평균 차량금액은 3,479만원인데 반해 국산차는 1,148만원에 부과했으며 이에 따라 대당 평균보험료 역시 외제차(106만원)가 국산차(58만원)의 1.8배 수준이었다.

수리비 부담 탓인지 자차보험 가입률도 외제차가 83.1%로 국산차(68.4%)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 사고발생 시 차량을 수리하지 않고 보험서로부터 예상 수비리를 현금으로 받는 미수선수리비 역시 외제차는 평균 240만원으로 국산차(62만원)의 3.9배에 달했다. 외제차의 미수선수리비는 최근 5년 간 29.1% 급증해 국산차(10.5%)보다 비용민감도가 강했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외제차와 국산차 간 보험금 괴리를 극복하기 위해선 대체부품의 최대 수요처인 보험사가 보험 사고차량에 대체부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절차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