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올 가계 이자부담 50조 넘어

가계이자부담 50조 돌파…소비 줄어 내수도 직격탄

올 한 해 가계의 이자부담이 50조원을 넘어서며 중산층이 ‘하우스 푸어’(집은 있지만 대출부담으로 실질소득이 줄어 빈곤하게 사는 사람)로 전락하는 문제가 가속화하는 양상이다. 이자 부담이 크다 보니 허리띠를 졸라매는 가계가 늘어 내수경기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27일 한국은행과 금융감독당국에 따르면 올 해 가계대출액과 금융기관별 평균 대출금리를 추산한 결과 가계의 이자부담 총액이 56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국민총소득(1,173조원)의 4.8%에 이르는 것으로 가계 빚의 이자부담이 50조원을 넘은 것은 사상 처음이다. 주로 최근 집을 구입한 중산층의 이자부담이 눈덩이처럼 증가하고 있는데 대출증가가 금리상승과 맞물렸기 때문이다. 작년 말 797조4,000억원이던 가계대출은 지난 9월말 840조9,000억원으로 3분기 만에 43조원이 늘었다. 여기에 대출금리는 지난해 말 연 5.35%였던 은행의 경우 지난 9월말에는 5.86%로 0.51% 포인트 뛰었다. 1억원의 대출을 받은 가계의 경우 이자부담이 9개월 만에 51만원 증가한 셈이다. 특히 재산이나 소득이 적어 제2금융권에 의존하는 서민들에게 이자 부담이 집중된 것으로 드러났다. 카드와 캐피털사의 대출잔액은 38조원에 불과했지만 이들 금융회사의 이자수익은 7조4,000억원에 달했다. 대출잔액이 450조원에 육박하는 은행 고객의 이자부담이 26조원 가량임을 고려할 때 카드·캐피털사를 이용하는 서민의 빚 부담이 3배 이상 컸다. 대출잔액이 114조원에 달하는 농협의 이자수익은 6조4,000억원으로 집계돼 오히려 카드·캐피털 회사보다 1조원이 적었다. 소득은 별로 늘지 않았는데 대출이자 부담에 원금 상환일까지 다가오자 소비를 줄이는 경향은 두드러지고 있다. 최근 물가성장률을 감안한 유통업체 매출 성장이 마이너스로 돌아서고 자동차 판매마저 급감한 것은 가계의 빚 부담이 크게 작용한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금융감독원 고위관계자는 “가계부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금리상승과 원금상환 부담까지 겹쳐 서민의 생활고가 가중되고 있다” 며 “유럽위기의 파급과 함께 가계부채의 부실화 비율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