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경제적인 측면에서 중국의 경기 부진은 각종 소비재의 가격 인하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이들 소비재와 직결된 구리·원유·철강·반도체 등 원자재 관련 품목의 국제 가격이 낮아지게 돼 미국 기업으로서는 예상치 않았던 ‘비용 절감 효과’를 보게 된다. 이는 곧바로 미국 내 관련 기업의 가격 경쟁력과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를 낳는다. 여기에 중국 경기의 부진이 심화하면 중국 내 상당 규모의 자본이 새로운 투자처를 찾아 국외로 나갈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나홀로 성장’을 하는 미국 경제는 중국 내 막대한 투자자금이 눈독을 들일 수밖에 없는 투자처가 된다. 심지어 미국에서 엘리트 교육을 받은 유능한 중국 인재들이 경기 부진에 허덕이는 자국으로 돌아가는 대신 미국에 남아 계속 일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에 이 역시 미국으로서는 상당한 이득이 된다.
중국의 경기 부진은 지정학적 측면에서 미국을 제치고 세계 패권국가로 올라서려는 중국 정부의 야심을 꺾어놓는, 계량할 수 없는 엄청난 파급 효과도 있다. 일부에서는 최근까지 중국이 보여준 경제성장 속도를 유지하면 2030년께는 미국을 능가하는 최대 경제대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지만 최근에 나타난 경기 부진이 가시화하면 중국의 이러한 목표는 달성하기 어렵게 된다.
아울러 중국 경제가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나 연쇄·파급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떨어지면 전 세계 경제성장률이 0.5%포인트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한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에 대한 무역의존도가 큰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 국가들은 중국의 경제 부진으로 인한 타격이 적지 않다. 그러나 미국은 중국으로의 수출이 전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고작 1%에 불과하다. 중국발(發) 경기 부진 우려가 미국으로 전이될 연계고리가 거의 없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과는 달리 규제가 덜한 작은 정부를 선호하는 미국은 기업들의 혁신, 사상·언론의 자유 등을 바탕으로 더 나은 성장을 할 수 있다고 이 신문은 내다봤다.
국제통화기금(IMF)에서 중국 문제 전문가로 일해온 코넬대학의 에스와르 프라사드 교수는 “앞으로 미국은 주요 20개국(G20) 회의 등 국제회의에서 중국에 대해 (이전보다) 더 강력한 우위와 지배력을 점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디지털미디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