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원전사업 해외진출 기반마련”/김헌출 사장 일문일답

­그룹의 숙원인 원전 건설에 참여하게 됐는데 소감은.『올해부터 발전소 건설사업이 대외 개방체제로 바뀐다. 대외 개방 전에 국내업체들이 원전 기술을 육성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인 울진 5, 6호기 건설에 참여하게 돼 기쁘다. 이번 수주를 계기로 삼성도 국내 원전시장에서 해외업체와 대등한 입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 ­구체적인 준비 과정은. 『삼성은 건설기술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는 원전사업 진출을 위해 인력과 기술, 장비확보 등 6년 남짓 전력을 쏟아왔다. 그동안 투자한 자금만도 1백억원이 넘는다. 박사 2명을 비롯해 발전소 건설에 경험이 있는 인력 2백여명을 확보해 미국 벡텔사에서 교육연수를 마쳤다. 또 선진기술을 배우기 위해 시공 부문은 일본의 대성건설과 미쓰비시중공업, 설계는 웨스팅하우스, 방사성 폐기물 처분기술은 미국의 NAC와 손을 잡았다. 지금은 원전공사뿐 아니라 원자력 관련 분야에 이르는 기술을 폭넓게 습득했다.』 ­국내원전 건설경험을 토대로 해외 원전사업에 진출하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는데 우리 업체가 참여할 수 있는 해외 원전시장의 규모는. 『해외에서는 전력 수요가 크게 늘고 있는 중국·인도네시아 등 아시아의 신흥공업국이 주요 공략 대상이다. 오는 2020년까지 아시아에서만 모두 70여기의 원전이 건설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중국과 인도네시아는 각각 40기와 10기의 원전 건설을 계획중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