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인실 병실료 48만원-8만원

대형병원 최대 6배 차이… 당뇨병 교육상담료는 12배나<br>의료계 "단순 비교" 반박


대형 종합병원 사이에서 1인병실료와 당뇨 교육상담료, 초음파 진단비 등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전액을 부담해야 하는 '비급여 진료 항목'의 가격이 최대 12배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과 한국소비자원은 44개 상급종합병원의 ▦상급 병실료 차액(건강보험급여가 되는 6인실 기준 병실료와의 차액) ▦초음파 진단료 ▦양전자 단층촬영(PET)료 ▦캡슐 내시경 검사료 ▦교육상담료 ▦진단서 발급비용 등 6개 항목의 비급여 진료비를 9일부터 심평원 홈페이지(www.hira.or.kr)에 공개한다고 8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인실 병실료 차액의 경우 삼성서울병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이 각각 48만원으로 가장 싼 단국대병원(8만원)의 6배에 달했다.

병실료 차액은 병원이 책정한 1인실 비용에서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6인실(다인실) 비용을 뺀 금액을 말한다. 따라서 병실료 차액이 크다는 것은 그만큼 원래 책정된 1인실 비용이 비싸다고 볼 수 있다.

가톨릭대서울성모ㆍ삼성서울ㆍ서울대ㆍ서울아산ㆍ연대세브란스 등 이른바 서울 빅5 병원의 1인실 병실료 차액은 20만원에서 48만원까지의 분포를 보였다.


고려대의대병원(20만2,000원)의 갑상선 초음파 진단료는 최저 가격인 전북대병원과 조선대병원(9만원)의 2.2배, 이대목동병원의 유방 초음파 진단료(21만3,000원)는 순천향대서울병원(7만4,900원)의 2.8배에 달했다.

관련기사



양전자 단층촬영(PET) 진단료의 경우 몸통(토르소) 촬영은 79만원(길병원)부터 127만5,000원(고려대의대병원)까지 1.6배 차이를 보였다.

반면 길병원은 전신 촬영의 경우 155만원(성인)으로 대구가톨릭대병원(90만원)의 1.7배에 이르는 진료비를 받았다.

캡슐 내시경 검사비는 수입 재료를 쓰는 병원 중에서 고려대안산병원이 146만8,500원으로 가장 비쌌다. 이는 최저 가격인 인하대병원(77만원)의 1.9배였다.

1회 당뇨병 교육상담료는 이대목동병원이 5만9,000원으로 강북삼성병원(5,000원)의 11.8배에 달했다. 다만 각 병원의 교육상담 총 시간 등은 같은 1회 방문 프로그램이라도 다양한 차이가 있다는 게 심평원 측의 부연 설명이다.

심평원 관계자는 "국민이 쉽게 의료기관별 비급여 가격을 한눈에 파악하고 비교, 선택할 수 있게 하자는 취지"라며 "상반기 중 자기공명영상(MRI), 임플란트, 다빈치 로봇 수술 등까지 공개 항목을 늘려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의료계는 병실 규모와 장비의 종류 등을 고려하지 않은 단순 비교는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며 비급여 항목 공개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송대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