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 석유공급위기에 취약"

국제유가가 연일 배럴당 50달러를 넘는 등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는 가운데 미.일.중.독.프랑스 등 세계 9대 석유 순수입국 가운데 4위 순수입국인 한국이 석유공급위기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26일 나타났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최근 발간한 `2005년도 예산안 분석'에서 한국석유공사의 지난 2001년 조사자료를 토대로 이같이 분석했다.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GDP(국내총생산) 대비 석유수입, 석유소비 비중, 중동의존도가 포함된 경제구조적 안정성과, 석유자급을 따지는 장기대응능력에서 9위로 가장 취약했다. 또 한국은 비축지속 일수 등 직접대응능력에서는 4위, 석유소비집중도와 석유소비탄성치 등 석유소비 효율성에선 6위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의 석유비축현황은 국제에너지기구(IEA) 기준으로는 정부 55일분(7천600만배럴), 민간 55일분(8천300만배럴) 등 모두 110일분이지만 실제 소비량 기준으로는 76일치에 불과해 일본 113일, 독일 98일, 프랑스 88일, 미국 78일 등에 비해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예산정책처는 "경제구조적 안정성은 우리 산업의 석유다소비 구조와 석유자원의중동편재 등 구조적인 문제로 단기간에 개선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면서 "그러므로 향후 장기대응능력(석유자급도)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국내외 유전개발 투자확대가 적극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병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