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우리나라 정보화수준 세계 16위

우리나라는 컴퓨터, 인터넷, 통신, 방송 등 4개부문 7개 항목에 기초한 정보화 지수를 측정한 결과 비교대상 50개국중 16위인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전산원(원장 서삼영)이 18일 발간한 `2002 국가정보화백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정보화 순위에서 지난 98년 21위에서 2000년 17위로 상승한데 이어 작년에는1단계 상승한 16위로 집계됐다. 한국전산원은 ITU(국제전기통신연합)가 발표한 각국별 PC보급, 인터넷 호스트, 인터넷 이용자, 전화회선, 이동전화 가입자, TV보급, CATV가입자 등 7개 세부지표의영향력 크기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해 정보화 지수가 산출되고 이를 근거로 정보화순위가 결정된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PC보급 대수는 99년 23위에서 작년 20위로 상승했다. ITU는 우리나라 PC보급 대수를 2000년에 1천126만대로 발표했으나 한국전산원 통계자료에 의하면 98년 827만대, 99년 1천153만대, 2000년은 1천862만대로 추산되고 있다. 인터넷 부문은 95년 26위에서 작년 11위를 기록했다. 이중 인터넷 이용자는 작년 2천400만명으로 인구 1천명당 511명을 기록하면서 지난 2000년 5위에서 3위로 급부상, 우리나라 정보화 순위 상승의 주된 이유가 됐다. 반면 인터넷 호스트수는 중하위권을 유지하는 데 그쳤다. 통신 부문은 95년 18위에서 99년 7위로 점진적 성장을 해오다가 작년 19위로 하락했다. 전화회선의 경우 95년 이후 8∼14위로 안정적 순위를 유지해오고 있으나 이동전화는 99년에 8위까지 부상한 이후 후발 국가의 추격에 밀려 22위로 하락했다. 방송 부문도 95년 8위에서 99년 21위로 떨어지다가 2000년 17위로 상승했다. TV보급 대수의 경우 95년 28위에서 2000년 38위로 하락한 반면 CATV 가입자는 99년 13위에서 2000년 10위로 상승, 방송 부문의 순위상승에 기여했다. 또한 정보화 투자규모도 90년 1조원에서 93년 11조원으로 급증세를 보이기 시작,99년에는 전년대비 26% 증가한 37조원, 2000년에는 27% 증가한 47조원으로 추정됐으며 작년의 투자규모는 약 48조원으로 GDP(국내 총생산)의 8.9%를 차지한 것으로추산됐다. 공공 부문의 정보화 투자는 지난 98년 이후 5년간 연평균 23%의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전산원은 IT(정보기술)산업의 부가가치 창출규모는 지난 90년 8조원에서 2000년71조원으로 연평균 24%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특히 반도체 등 제조업 비율이 차지하는 비율이 갈수록 늘어나 2000년 IT산업 GDP의 57%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은 지난 98년 이후 지속적으로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스위스, 핀란드, 네덜란드 등이 미국에 이어 2∼7위를 차지했으며 아시아 국가중에는 홍콩이 8위에 오른 것을 비롯해 일본(12위), 싱가포르(13위), 대만(15위) 등이 상위권에 들었다. (서울=연합뉴스) 이정내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