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회원사 힘돋아주기 다양한 서비스

관련협회 발빠른 움직임증권업협회와 투자신탁협회 역시 회원사의 권익을 대변한다는 본래 기능 외에 다각적인 대회원사 서비스를 펼쳐 나가고 있다. 증권관련협회는 여느 협회, 이익단체와 다른 긴장감으로 뛰고 있다. 국내 증권시장에 외국계 증권ㆍ투신사들의 진출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국내 증권사간 치열한 생존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조정, 정책개발 등 협회의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증권업협회, 다양한 상품 개발 토대 마련에 주력 오호수 증권업협회장은 협회의 역할론에 대해 "생존 경쟁에 직면한 증권회사들이 자유롭게 영업을 할 수 있는 기틀을 만들어 주는 것"이라고 말한다. 과거의 '권익보호' 기능과는 다른 차원이다. 증권업협회는 증권사간 선의의 경쟁을 펼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는 것을 가장 큰 과제로 설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증권사들보다 앞서 신상품개발 및 신규서비스 제공을 제한하고 있는 증권거래법령 등에 대한 개정을 정부 당국에 건의할 예정이다. 또 회원사의 존립을 위협하는 전산망 사고 등의 위험을 관리해주는 '위험관리시스템'을 개발해 회원사에 제공하는 계획도 추진중이다. 더욱이 코스닥시장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며 협회의 기능도 커지고 있다. 설립 취지인 회원사들의 권익을 최대한 대변하면서 증권사간 과당 경쟁시에는 중재 역할 기능까지 수행하고 있는 증권업협회는 단순 친목단체가 아닌 의사결정기관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투자신탁협회, 시장기능 정상화의 개척자 역할 자임 외국계 투신운용사의 국내 진출이 늘어나고 국내 굴지의 투자신탁운용사들이 속속 해외에 매각될 예정이어서 토종 투신업계가 위협받고 있다. 투신협회는 이 같은 투신업계의 난관을 시장기능 정상화에서 찾고 있다. 고객의 신뢰회복이 최우선과제. 길고 길었던 대우채 환매문제를 일단락짓고 정회원사들의 흑자전환을 위해 다양한 상품개발과 외국 투신업계 동향분석 등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특히 정회원사인 투자신탁운용과 자산운용회사 등에 사외이사 및 감사인제도를 의무화하는 등 투명한 투신시장 만들기에 주력하고 있다. 개인과 외국인이 수긍하고 믿을 수 있는 풍토조성에서 토종투신업계의 경쟁력과 미래를 찾고 있는 것이다. 한동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