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이젠 현대아산을 풀어줘야

"정치 문제로 대북 사업까지 꽉 막혔습니다. 천안함 사건 이후 대북접촉이 금지되면서 경제인들의 북한 정보라인이 다 끊겨가는 상황입니다." 최근 만난 한 남북경협전문가는 기자에게 거듭 안타깝다고 말했다. 정부의 대북 강경책으로 미래 사업기회를 놓치고 있다는 것이다. 현대그룹도 지난 2008년 7월 한 여성 금강산 관광객이 북한 초병에게 피살되면서 정부 결정에 따라 대북 관광사업을 전면 중단해야 했다. 이로써 현대아산은 5,000억원 규모의 피해금액과 700여명의 직원 유출을 떠안아야 했다. 특히 인력의 경우 대북 실무 경험을 갖춘 소중한 미래 자원이 대거 설 땅을 잃은 셈이다. 대북사업 경험이 있는 경제인들은 북한이 큰 잠재력을 갖춘 미래 시장이라고 입을 모은다. 사회간접자본부터 자원, 서비스 등 시장이 한 번 열렸을 때 할 수 있는 사업기회가 무궁무진하다는 것이다. 실제 한국 기업이 북한 내 설 땅을 잃어버린 틈을 타 외국 기업들은 북한과 사업적 접촉을 늘리고 있다. 이집트의 통신기업 오라스콤이 대표적이다. 현대아산이 금강산 사업을 중단하고 남측으로 돌아오던 2008년, 오라스콤은 북한에서 무선통신사업을 개시했다. 북한 휴대전화 사업은 2009년 10만명 미만에서 지난해 말 30만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해외 기업의 관심이 단지 지금 북한 내에서 진행하는 사업에 머물지 않는다는 점은 명확하다. 북한과의 경제접촉이 끊긴 현 상황에서 만약 앞으로 북한의 통신ㆍ자원시장 등이 개방될 경우 국내 기업이 기회를 가질 수 있을지 생각하면 회의적이다. 최근 북한 측은 현대 측 조문단이 김정일 국방위원장 조문할 때 최고의 예우를 보여줬다. 우리와 경협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는 의미다. 실제 물밑에서는 '남측이 양보하면 더 크게 화답하겠다'는 메시지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제 열쇠는 정부가 쥐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 등 세계 각국이 그렇듯 우리도 '정치'와 '경제'라는 두 바퀴로 대북정책을 운용해야 한다. 10년 뒤 미래를 생각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 정부는 정치 논리만으로 국가 경제 도약 기회를 스스로 막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볼 일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