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대형 건설업체로 확산되는 부도사태

도급순위 34위인 삼부토건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건설업계의 부도사태가 상위권 대형업체로 확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삼부토건과 대주단이 어제 협상을 벌여 법정관리철회와 정상화 쪽으로 의견을 모으긴 했지만 국내 건설업면허 1호로 보수적인 경영과 지난해 201억원의 영업이익(당기순익은 41억원)을 낼 정도로 탄탄했던 삼부토건이 심각한 경영난에 빠졌다는 점에서 충격을 주고 있다. 이번 삼부사태를 계기로 업계에서는 자금사정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중견업체는 물론 대형 건설업체들의 부도사태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올들어서만 동일토건(49위)ㆍ월드건설(71위)ㆍ진흥기업(43위)ㆍLIG건설(47위) 등이 법정관리나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대부분 도급순위 50위 내에 드는 업체들이다. 여기에 삼부토건까지 경영난을 겪으면서 4~5월 대란설까지 나돌고 있다. 건설업계의 부도사태는 구조적으로 불가피한 측면이 없는 것은 아니다. 시장변화와 수익성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고 무리하게 사업을 벌이다 자금난에 직면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문제는 일시에 줄도산이 벌어질 경우 경제전반에 큰 충격을 주게 된다는 점이다. 연쇄부도 사태를 막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자금조달에 숨통을 터주는 일이다. 올해 만기가 도래한 건설업계의 PF대출규모는 대략 16조~17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하지만 건설경기가 침체에 빠지자 금융권이 대부분 만기연장을 하지 않고 상환을 요구하면서 업체들마다 극심한 자금난에 빠져 있다. 특히 저축은행 구조조정에 따른 자금회수가 몰리면서 건설사의 자금난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회생가능성이 낮은 부실기업은 도태돼야 하지만 일시적인 자금난으로 인해 도산하는 경우는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일자리도 문제지만 건설업체들의 무더기 도산은 금융부실로 이어질 위험도 있다. 필요한 경우 긴급 구제금융지원 등을 통해 흑자도산만은 막아야 한다. 아울러 부도위기 기업의 신속한 구조조정과 회생을 위해 지난해말 폐지된 기업구조조정촉진법의 개정을 서둘러야 한다. 채권금융기관들도 자금회수에만 급급할 게 아니라 기업도 살고 채권도 회수하는 상생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건설사들도 정부의 지원만 기대하고 있을 것이 아니라 자산매각 등을 통한 자구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