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저밀도 재건축/각계반응] 주민 "현실무시 탁상행정" 반발

주택업계는 서울시의 저밀도지구 기본개발계획 시안에 대해 『공사물량 확보는 물론 주택경기 활성화에도 결정적인 전기가 될 것』이라며 크게 반기는 분위기다.LG건설 주택사업부 한상열 상무보는 『재건축 추진일정이 가시화됐다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5개지구의 재건축을 통해 1년간 서울 동시분양물량의 2배에 이르는 아파트가 건립되는만큼 안정적인 공사물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발표대로라면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용적률이 240%를 밑도는 등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현대건설 민간사업본부 도명래부장은 『당초 예상보다 조합원의 건축비 부담이 늘어나 사업성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조합원과 시공사가 건축비에 대해 원만히 합의하기 어려워 사업이 지연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어쨋든 서울시의 대단위 재건축계획이 확정됨으로써 업체간 수주전은 더욱 뜨겁게 달아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저밀도지구 아파트가 대부분 고급아파트 밀집지역인 강남의 노른자위 땅에 자리잡고 있어 업계는 브랜드이미지 제고를 위해서도 적극적인 수주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주민반응 해당지구의 주민들은 서울시의 안대로 할 경우 사업성이 떨어져 재건축을 추진하기 어렵다며 반발하고 있다. 43개 저밀도 단지의 재건축조합장과 조합취진위원장들은 재건축 기본계획에 대한 공람이 시작되면 각 단지의 요구사항을 수렴, 서울시에 전달할 계획이다. 주민들은 용적률과 소형평형 건립을 인센티브에 연계시킨 점에 대해 가장 큰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청담 도곡지구에 속해 있는 해청아파트 박창서(朴昌緖)재건축 조합장은 『소형평형 의무건립은 영세민들이 많은 재개발 아파트에만 해당된다』며 『서울시가 이런 소형평형 의무건립을 저밀도 지구에 적용시키는 것은 무리한 처사』라고 밝혔다. 잠실 3단지 이세원(李世源)조합장도 『서울시의 안은 현실을 무시한 탁상행정으로 사업을 추진하지 말라는 것과 다를 바 없다』라며 『서울시가 주민들이 내놓을 개선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수년동안 재건축을 기다려온 주민들의 재산권을 지키기 위해 단체행동도 불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학인 기자 LEEJK@ /이은우 기자 LIBRA@SED.CO.KR

관련기사



이학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