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中에 뒤진 RFID 사업 본격화

송도에 2010년까지 세계적규모 클러스터 조성

인천 송도에 세계적인 규모의 무선인식기술(RFID)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등 중국보다 활용이 뒤처지는 RFID사업이 본격화된다. 지식경제부는 20일 주류 유통정보시스템과 의약품 유통관리, 센서네트워크(USN) 기반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시스템 등 모두 17개 공공과제와 자동차ㆍ유통ㆍ가전ㆍ섬유 등 산업 분야의 RFID 확산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981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달 말 공고를 낸 뒤 확산사업과 신규모델 발굴을 추진하는 한편 오는 6월 말까지 중장기 사업추진 로드맵격인 RFIDㆍUSN 산업발전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2010년까지 인천 송도에 세계적인 규모의 RFIDㆍUSN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우선 관련 기업들, 특히 중소기업들이 공동으로 활용 가능한 종합지원시설인 ‘u-IT 클러스터 지원센터’를 올해 6월까지 완공하기로 했다. 정부가 RFID사업 육성계획을 다시 짜게 된 것은 그간 이 사업의 주도권을 놓고 경쟁을 벌여온 산업자원부와 정보통신부가 지식경제부로 통합되면서 지원 및 추진체계가 한층 효율화됐기 때문. 한국은 그간 IT강국을 자부해왔지만 정작 RFID의 활용도는 중국보다도 뒤지고 있다. 산업연구원(KIET)에 따르면 올해 1월 현재 전세계의 RFID 적용 프로젝트 3,129건 가운데 미국이 전체의 3분의1이 넘는 33.6%를 차지하고 있고 이어 영국(10.7%), 중국(6.8%), 독일(5.6%), 일본(5.2%)의 순이며 한국은 2.2%로 9위에 그치고 있다. 지난 2006년 23억달러선이었던 세계 RFID시장은 10년 내 10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RFID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개당 250∼350원에 이르는 RFID 태그 가격을 최대한 낮추고 현재 908.5∼914㎒와 433㎒만 RFID에 할당돼 부족 가능성이 우려되는 주파수대역의 추가를 위한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KIET는 “RFID는 적용범위가 거의 전 산업에 해당될 정도로 포괄적이어서 반도체와 같은 핵심기술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른 산업이나 기술과의 융합 발전 가능성뿐 아니라 RFID 기술 자체가 주요 성장동력으로 기능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