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미 의회 애플-구글 대표 불러 프라이버시 침해여부 추궁

미국 의회가 애플, 구글 등 스마트폰 운영체제 개발업체들이 휘말린 위치정보 수집논란에 대한 첫 청문회를 열고 본격 조사에 착수했다. 미 원 법사위 사생활-기술-법 소위원회는 10일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을 운영하는 애플과 구글 경영진을 출석시킨 가운데 청문회를 열었다. 청문회 주 내용은 스마트폰 이용자가 자신도 모르게 자신의 위치정보가 저장되고 있고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되는 지 여부와 이것이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지에 대한 문제였다. 미국에서는 지난 4월 애플의 아이폰이 개인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애플, 구글을 상대로 한 소송이 제기되면서 프라이버시 침해 논란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소위 위원장인 앨 프랑켄(민주) 의원은 “고객은 자신에 대한 어떤 정보가 수집되는지 알 권리가 있으며 그 정보들의 공유여부와 공유 대상, 시점에 대해서도 알아야 한다”며 “모바일 기기를 통한 얻어진 정보들이 보호되지 못하고 있다는 의혹이 있다”고 지적했다. 버드 트리블 애플 부사장은 “고객의 프라이버시를 분명히 보호하고 있다”며 “고객의 위치를 추적하지 않으며, 그렇게 하지도 않았고, 그렇게 할 계획도 없다”며 위치추적 의혹을 부인했다. 구글의 공공정책 책임자인 앨런 데이비드슨도 “고객이 위치정보에 대한 공유를 꺼린다면, 스위치를 끌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